경상도의 가랑잎의 사물화 양상
Materialization Aspect Unveiled in Dead Leaves of Gyeongsang Province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상도의 가랑잎의 사물화 양상
Materialization Aspect Unveiled in Dead Leaves of Gyeongsang Province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진하의 『우주배꼽』에 나타난 ‘신체’와 은유 구조
‘Body’ and Metaphoric Structure in Ko Jin-ha’s Poetry, Universal Navel
문학과 종교 |
17 |
2 |
2012 |
기타인문학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있어 물신주의 비판
Critique of Fetishism in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김현승의 『새벽교실』의 시간과 은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ime and Metaphor in Kim Hyeon-seung’s Poetry 『In the Classroom at Daybreak』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나의 도시’ 속에서 사라져버린 사람들 - 홍콩문학 속의 외국인 여성 가사노동자 ‘페이용’(菲傭)
Forgotten People in ‘My City’ - ‘Feiyong’(菲傭), Foreign Female Domestic Workers in Hong Kong Literature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김현승 후기시의 사물화 양상 -광물에 토대 한 사물을 중심으로-
Reification Aspects Unveiled in Kim Hyeon-seung's Late Period Poetry - centering on materials based on minerals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현승 후기시의 사물화 양상 -광물에 토대 한 사물을 중심으로-
Reification Aspects Unveiled in Kim Hyeon-seung's Late Period Poetry - centering on materials based on minerals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구범 단편 연구 ―해방전후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The cognition of the front and the rear history of liberation ―A study of Hong, gou-beom's short story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사와 계급의식의 주요 쟁점
Wichtige Streitpunkte von Geschichte und Klassenbewußtsein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소외로서의 카프카 문학
Die Entfremdung in der Literatur Franz Kafkas
독일언어문학 |
51 |
2011 |
독일어와문학
사물화 비판의 두 모델-인지 모델과 인정 모델-
Two Models of the Critique of Reification: Cognition and Recognition Model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사물화 비판의 두 모델-인지 모델과 인정 모델-
Two Models of the Critique of Reification: Cognition and Recognition Model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환영적 메커니즘
Illusionary Mechanism in Novels Written by Yoon Dea Nyeong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