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 지리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208

STNet ID : 1004544

한자 : 心象地理
영어 : imagined geographies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e04-03 자연적공간 /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바다 () [ 海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에드워드 사이드 (1935-2003) [Said, Edward W.]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도쿄 표상 () [ 東京表象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옥시덴탈리즘 () [occidentalism]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e04-03 자연적공간 /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산(山) () [ 山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오리엔탈리즘 () [l`orientalisme]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c02-01 감정 /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거리 () [ 距離 ]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경성(京城)’의 문화지정학적 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Geopolitical Topology of ‘Keijo(京城)’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초 시가에 나타난‘한양’과 ‘경성’의 공간인식과 그 의미

The Space Recognition and Meaning of ‘Hanyang’ and ‘Kyungsung’ i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ies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 申光洙의 『驪江錄』을 중심으로 -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 With a focus on 『Yeogangrok(驪江錄)』 by Shin Gwang-su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토포필리아의 수사학-심리적 실향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 of Topophilia in Lee, Moon-gu's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방언과 공간적 상상력

Spatial Imagination of Dialect over the Contemporary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독립 투쟁 소재의 극예술에 나타난 주제의식 연구 -박노아의 희곡 <선구자>와 전창근의 시나리오 <자유만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me of Dramas about Struggle for Independence in just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focussing on of Park, no-ah and of Chun, chang-geun-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윤대녕 소설에 나타난 제주의 상징성 연구 - 토포스(topos)로서의 제주

A study on symbolism of Jeju island shown in novel written by Yun Dae-nye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인환 시의 장소와 심상지리

A Study on the Place and Imaginative Geography in Park In-whan's Poems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자로서의 도시, 도시시학의 가능성 -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

Cities as Letter of Text, Possibility of Urban Poetics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Imaginative Geography in Baek, Seok's Travel Poem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多山 朴榮喆의 『아주기행』과 문학적 형상화

Dasan Park Young-chul’s 『AJu-GiHang』 and literary manifestation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박영철(朴榮喆)의『다산시고(多山詩稿)』와 친일시

Park Young-Cheol's 『Dasanshigo』 and his pro-Japanese poem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박영철(朴榮喆)의『다산시고(多山詩稿)』와 친일시

Park Young-Cheol's 『Dasanshigo』 and his pro-Japanese poem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지리담론을 통해본 근대일본인의 심상지리와 아시아인식 ― 후쿠자와 유키치를 중심으로 ―

Geographical Discourses of Fukuzawa Yukichi and Asia's Imagined Geographies in Modern Japan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Imaginary geography about 'local' in 1950's world travel essays and novels -centering on the women writers' works in post-war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Imaginary geography about 'local' in 1950's world travel essays and novels -centering on the women writers' works in post-war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동 출생 시인의 시 세계에 나타난 심상지리적 특성 비교 고찰 - 정공채와 정호승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in imaginative geography characteristic of poet come from HaDong - Focus on Jeong Kong-Chae and Jeong Ho-Sung of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