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

연구분야 : A030105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논리학/논리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211

STNet ID : 1004547

한자 : 內包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외연 [ 外延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함축 () [ 含蓄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명제 [ 命題 ]

Le traitement de la métaphore dans la traduction littéraire

문학작품 속의 은유의 번역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Le traitement de la métaphore dans la traduction littéraire

문학작품 속의 은유의 번역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시경 문법에서 ‘드’의 개념과 범위

A Study on the concept and Range of ‘Deu’ in Ju Si-kyung’s Grammar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시경 문법에서 ‘드’의 개념과 범위

A Study on the concept and Range of ‘Deu’ in Ju Si-kyung’s Grammar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사절의 수식과 접속―종속 접속절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Modification and Conjunction of the Adverbial Clause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subordinate conjunctive clause―

한글 | 297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유명 의미의 지시와 내포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Proper Names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교문법의 부사절 설정과 관련된 몇 문제

On the adverbial Clause in School Grammar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홍성지역 재지세력의 형성과 추이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홍성지역 재지세력의 형성과 추이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홍성지역 재지세력의 형성과 추이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홍성지역 재지세력의 형성과 추이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춘향전> 외연의 한 양상 —한문본 <春香新說> 및 일본어본 <鷄林情話春香傳>을 중심으로

The extended narrative of Chunhyang-jeon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외연과 내포 개념을 통한 이미지 해석력 교육

A Study about Interpreting Images with Barthers’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외연과 내포 개념을 통한 이미지 해석력 교육

A Study about Interpreting Images with Barthers’ Denotation and Connotation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영화의 색온도와 내포 : SF 「에이리언」을 중심으로

La température de couleur du film et sa connotation : une étude de l'Alien, film de science-fiction

한국프랑스학논집 | 74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카르납의 의미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분석

Historico-critical Analysis on Carnap's Semantics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영화의 접속 기표와 포스트-휴머니즘 재현 :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 관한 내포 연구

Filmic Signifier of the Connection and a Representation of the Post‐human : study about the conno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기호학 연구 | 32 | 2012 | 언어학

신리 교우촌과 밀양손씨

Sin-ri Catholic Village and the Milyang Son Clan

교회사연구 | 35 | 2010 | 교회사

신리 교우촌과 밀양손씨

Sin-ri Catholic Village and the Milyang Son Clan

교회사연구 | | 35 | 2010 | 교회사

접속과 내포

Conjunction and Embedding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