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축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34

STNet ID : 1001008

한자 : 含蓄
영어 : Implicature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함축 이론 [ 含蓄理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시적 표현 [ 詩的表現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학 언어 [ 文學言語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함축 도표 [ 含蓄圖表 ]

RT (관련어)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확장 [ 擴張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문학성 [ 文學性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내포 [ 內包 ]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The Study of Background and Distinction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중국어문학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宋代 詩味論의 배경과 특색 연구

The Study of Background and Distinction of the Theory of Poetic Taste in Song Dynasty

중국어문학 |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題畵詩의 미학적 특징과 구현 원리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hwasi[題畵詩, Sino-Korean Poetry about Painting] and its Realization Principles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沙村 金允悌와 文藝空間 環碧堂의 의미

On the meaning of Sachon(沙村) Kim Yunje'(金允悌)s Huanbeogdang(環碧堂) as a Space of Literature and Art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沙村 金允悌와 文藝空間 環碧堂의 의미

On the meaning of Sachon(沙村) Kim Yunje'(金允悌)s Huanbeogdang(環碧堂) as a Space of Literature and Art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16세기 湖南詩 미의식 -意境의 아름다움-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oetry of Honam in 16th century -On the Beauty of the Mood and View-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三峯 鄭道傳 詩의 表現 樣相과 美意識

The Expressive aspec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Jeong Do-jeon'(鄭道傳)s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峯 鄭道傳 詩의 表現 樣相과 美意識

The Expressive aspec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Jeong Do-jeon'(鄭道傳)s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Рекламные тексты с позиции межкультур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Advertising text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외국학연구 | 15 | 2011 | 기타인문학

의사소통전략으로서의 공손

Höflichkeit als Kommunikationsstrategie

독어교육 | 53 | 53 | 2012 | 독일어와문학

16세기 湖南詩 미의식 -意境의 아름다움-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oetry of Honam in 16th century -On the Beauty of the Mood and View-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광고 전략의 이분법적 도식으로서 Simpson’s Schema에 대하여

On Simpson’s Schema for Advertising Strategies

서강인문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광고 전략의 이분법적 도식으로서 Simpson’s Schema에 대하여

On Simpson’s Schema for Advertising Strategies

서강인문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Constraints on Disjunctive Sentences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Constraints on Disjunctive Sentences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백석의 동화시 개작 연구: 「지게게네 네 형제」와 「집게네 네 형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ildren’s poems by BAEK SUK with a focus on The Four A―Frame Crab Brothers complete form and The Four House―Crab Brothers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화행 ‘비방’과 함축

Sprechakt ‘Beschimpfen’ und Implikatur

독어학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서술시를 통한 서정과 서사 통합 교육 방법 연구

Study on Lyric-Epic-Integrated Teaching Method by Narrative Poem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타동의 자동 함축과 사동과 피동

The Implicational relation between transitive and intransitive, Causative and Passive.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타동의 자동 함축과 사동과 피동

The Implicational relation between transitive and intransitive, Causative and Passive.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에서의 ‘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Eonoejiui’ and Principles of Embodying it in Classical Chinese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잡지 광고에 나타난 아이러니 문채의 특성 연구 - ‘함축성’과 ‘상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irony figur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 Focused on ‘implicature of expressions’ and ‘dissimilarity of elements’

수사학 | 12 | 2010 | 기타인문학

잡지 광고에 나타난 아이러니 문채의 특성 연구 - ‘함축성’과 ‘상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irony figures in magazine advertisements : Focused on ‘implicature of expressions’ and ‘dissimilarity of elements’

수사학 | | 1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