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斗卿의 교유관계와 교유시
Companionship Of Jeong Du-Gyeong(鄭斗卿) And Friendship Poetry
고전과 해석 |
12 |
2012 |
국문학사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합성동사 ‘끓어오르다’와 ‘솟아오르다’의 의미 양상
Semantic Modality of Compound Verbs 'Kkeulheooreuda (끓어오르다)'and 'Sosaoreuda (솟아오르다)'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합성동사 ‘끓어오르다’와 ‘솟아오르다’의 의미 양상
Semantic Modality of Compound Verbs 'Kkeulheooreuda (끓어오르다)'and 'Sosaoreuda (솟아오르다)'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어 동사 kommen의 은유적 의미 - 은유적 의미확장을 통한 다의어 설명 -
Metaphorische Bedeutungserweiterung des deiktischen Bewegungsverbs kommen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30 |
2012 |
독일어와문학
국내 주요사찰 안내판의 번역에 나타난 TT의 양적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Quantitative Change in TTs on Information Boards at Korea's Major Temples
통번역교육연구 |
8 |
1 |
2010 |
통역번역
국내 주요사찰 안내판의 번역에 나타난 TT의 양적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Quantitative Change in TTs on Information Boards at Korea's Major Temples
통번역교육연구 |
8 |
1 |
2010 |
통역번역
상장기업 홈페이지 한영번역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Korean-into-English Translations on Home Pages of Publicly Traded Companies
통번역교육연구 |
9 |
1 |
2011 |
통역번역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의 매체미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dia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nce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무용역사기록학 |
22 |
2011 |
무용
‘전통 계승 시’의 유형과 교육 방법
Type and instructional method of ‘Tradition-oriented poetr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디지털 미디어 시대 판화(版畵)의 미적(美的) 소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mmunication of the printmaking in Digital 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디지털 미디어 시대 판화(版畵)의 미적(美的) 소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mmunication of the printmaking in Digital 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5 |
2010 |
예술일반
공간특정성과 장소특정성의 상호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specificity and site-specificity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공간특정성과 장소특정성의 상호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pace-specificity and site-specificity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映畵 「외출」의 小說化에 대한 硏究 - 이미지의 配列을 통한 餘白과 人物과 敍事의 擴張을 통해 -
A Study on The Fictionalization of the Film 「April Snow」 - By extending the blank space, character and description through the array of image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한국어의 잉여적 파생접미사 덧붙음 현상
Combining the Derivative Suffixes Redundantly in Pre-modern Korean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한국어의 잉여적 파생접미사 덧붙음 현상
Combining the Derivative Suffixes Redundantly in Pre-modern Korean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간의 확장세(擴張勢)로서 가변적 형태에 의한 공간형성의 유의미성
The Meaningfulness of a Space Formation by Variable Forms as an Expansion of Space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