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확장

연구분야 : A090700 인문학 > 언어학 > 화용론(언어학)

클래스 : 강화(증가/확장/신장)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771

STNet ID : 1002692

한자 : 意味擴張
영어 : semantic extension
영어 : meaning extension
기타 : 意味拡張
기타 : 语义扩展
프랑스어 : extension du sens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확장 [ 擴張 ]

R1:개념적

hasProcess (과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신체화 [ 身體化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은유 () [ 隱喩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환유 () [ 換喩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다의어 () [ 多義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 정보 [ 意味情報 ]

동반 경험 망 모형을 적용한 성서 히브리어의 신체 어휘 번역 방안 고찰

Applying Accompanied Experience Network Model in Translation of Body Words of Biblical Hebrew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 신체 표상의 세미오시스

Semiosis of BODY representation in Russian

슬라브학보 | 27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냄새}

Lexical Information of {naimsai냄새 [(a) smell/ (an) odor/ (a) sc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겨드랑이’의 어휘사

A Historical Study on the Words with the Meaning of gyeodeurangi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A Cognitive Analysis of the Meaning Extension of Sensual Nouns in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색의 기호화 과정

Le processus du système sémiotique de couleurs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시원하다’의 통시적 의미 변화 양상 연구

On an Aspect of the Meaning Change of the ‘Siwonhada[시원하다]’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남방언의 미각어

A Study on Pungent verb in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현종의 「무지개나라의 물방울」에 대한 인지시학적 분석 - 공간은유의 의미확장을 중심으로

Cognitive poetic analysis on 「Waterdrop of Rainbow World」 of Jeong Hyun Jong -In terms of meaning expansion of space metaphor

국어문학 | 52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중 ‘얼굴’의 의미확장과 개념화 양상

On the Meaning Extension and Conceptualisation of ‘FACE’ in Korean and Chinese

중국어문학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중 ‘얼굴’의 의미확장과 개념화 양상

On the Meaning Extension and Conceptualisation of ‘FACE’ in Korean and Chinese

중국어문학 | | 55 | 2010 | 중국어와문학

영어 공간전치사의 인지언어학적 고찰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on English Spatial Prepositions

언어과학 | 19 | 3 | 2012 | 언어학

‘반의어’ 개념의 확장 -원형이론으로 본 반의어의 개념과 유형-

“反义词”概念的扩张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동사 ‘걸다’의 인지의미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Verb “Geol-Da”’s Cognitive Meaning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사 ‘걸다’의 인지의미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Verb “Geol-Da”’s Cognitive Meaning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결어미 ‘-고’의 다의적 쓰임에 대한 인지적 해석

A Cognitive Analysis of the Polysemous Use of Connective ‘-ko’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 58 | 2011 | 언어학

스페인어의 VER/MIRAR 동사와 한국어의 ‘보다’동사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Análisis contrastivo entre ver/mirar en español y ‘boda’ en coreano

스페인어문학 | 56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스페인어의 VER/MIRAR 동사와 한국어의 ‘보다’동사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Análisis contrastivo entre ver/mirar en español y ‘boda’ en coreano

스페인어문학 | | 56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한국어 '먹다'와 중국어 '吃(chi)'의 의미 확장 비교

The contrast on the verb ‘먹다’ and ‘吃’ of semantic extension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인의 [옷] 은유에 나타나는 개념화 양상 -‘입다/벗다’ 동사를 중심으로-

Aspects of Conceptualization Manifested in the [clothing] Metaphors by Koreans-with a focus on the verbs ‘ipda(put on)/budda(take off)’

한국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인의 [옷] 은유에 나타나는 개념화 양상 -‘입다/벗다’ 동사를 중심으로-

Aspects of Conceptualization Manifested in the [clothing] Metaphors by Koreans-with a focus on the verbs ‘ipda(put on)/budda(take off)’

한국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지속가능디자인 개념 확장과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Extension and Implementation Approach of Sustainable Design Concepts - A Comparative Case Analysis of Two Global Companies -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지속가능디자인 개념 확장과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ing the Extension and Implementation Approach of Sustainable Design Concepts - A Comparative Case Analysis of Two Global Companies -

디자인학연구 | 23 | 4 | 2010 | 디자인

명사 {소리}의 인지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Aspects of Noun {sori}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The Polysemy of the Motion Verbs go and come

언어과학 | 17 | 2 | 2010 | 언어학

The Polysemy of the Motion Verbs go and come

언어과학 | 17 | 2 | 2010 | 언어학

러시아어 양상술어의 의미 확장과 다기능성

A Study on Semantic Expansion and Polyfunctionality of Russian Modal Predicates - with special focus on ‘мочь’ and ‘должен’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양상술어의 의미 확장과 다기능성

A Study on Semantic Expansion and Polyfunctionality of Russian Modal Predicates - with special focus on ‘мочь’ and ‘должен’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한국어 가치 표현 ‘-을 만하다’의 문법화 연구

Grammaticalization of Value Expression‘-을 만하다' in Korean

언어와언어학 | 55 | 2012 | 언어학

영어 -er 명사의 의미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A Cognitive Linguistic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English -er Nominals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