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정보

연구분야 : A090600 인문학 > 언어학 > 의미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04

STNet ID : 1000714

한자 : 意味情報
영어 : semantic informatio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 구조 [ 意味構造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워드넷 [WordNet]

RT (관련어)

 

 

의미 가치

RT (관련어)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 확장 () [ 意味擴張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말뭉치 () [corpus]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휘 정보 [ 語彙情報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통사 정보 [ 統辭情報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 자질 [ 意味資質 ]

RT (관련어)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의미 () [ 意味 ]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미범위와 의미정보의 상관성에 대하여

Relation Between the Meaningful Scope and Semantic Information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냄새}

Lexical Information of {naimsai냄새 [(a) smell/ (an) odor/ (a) sc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공간형용사 어휘 정보 연구 - {높다}를 중심으로

Studies of the lexical information of spatial adjectives for Korean learners - focused on “high”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字類註釋』수록 한문 주석의 사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ctionary feature of chinese annotation in Jaryujuseok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字類註釋』수록 한문 주석의 사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ctionary feature of chinese annotation in Jaryujuseok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소리}

Lexical Information of {soli [(a) sound/ a voice/ a balla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소리}

Lexical Information of {soli [(a) sound/ a voice/ a balla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매체 환경에 따른 언어․문화 비교 연구 - 간판 매체 언어와 인터넷 매체 언어를 대상으로-

A Study on Language-Culture according to the Media Type: In the Comparison of the Signboard Language and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매체 환경에 따른 언어․문화 비교 연구 - 간판 매체 언어와 인터넷 매체 언어를 대상으로-

A Study on Language-Culture according to the Media Type: In the Comparison of the Signboard Language and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의미 연구

A Seman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의미 연구

A Seman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