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릉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288

STNet ID : 2000067

한자 : 朝鮮王陵
영어 :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왕릉 () [ 王陵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 [ --世界遺産 ]

N1:종류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동원이강릉 [ 同原異岡陵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합장릉 [ 合葬陵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삼연릉 [ 三連陵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쌍릉 [ 雙陵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동원상하릉 [ 上下異封陵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단릉 [ 單陵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능침 공간 () [ 陵寢空間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진입 공간 (왕릉) [ 進入空間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전이 공간 (왕릉) [ 轉移空間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재실 (제사) [ 齋室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제향 공간 (왕릉) [ 祭享空間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조선 능제 [ 朝鮮陵制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상례보편 () [ 國朝喪禮補編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속오례의 [ 國朝續五禮儀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려 왕릉 [ 高麗王陵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서오릉 [ 西五陵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동구릉 [ 東九陵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장도감 [ 國葬都監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빈전도감 [ 殯殿都監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서삼릉 [ 西三陵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파주 삼릉 [ 坡州三陵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조선 원소 [ 朝鮮園所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배산임수 [ 背山臨水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천장 [ 遷葬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산릉도감 [ 山陵都監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릉 (세종) [ 英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공릉 [ 恭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혜릉 [ 惠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강릉 [ 泰康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창릉 [ 昌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명릉 [ 明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녕릉 [ 英寧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의릉 [ 懿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정릉 [ 宣靖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광릉 [ 光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숭릉 [ 崇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수릉 [ 綏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익릉 [ 翼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융건릉 [ 隆健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사릉 [ 思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릉 (효종) [ 寧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융릉 [ 隆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장릉 (단종) [ 莊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휘릉 [ 徽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릉 (진종) [ 永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현릉 [ 顯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장릉 () [ 長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장릉 (원종) [ 章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후릉 [ 厚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광해군묘 [ 光海君墓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릉 (덕종) [ 敬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제릉 [ 齊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목릉 [ 穆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유릉 [ 裕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건원릉 [ 健元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홍릉 (고종) [ 洪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효릉 [ 孝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강릉 (명종) [ 康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릉 [ 泰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희릉 [ 禧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릉 (순조) [ 仁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온릉 [ 溫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예릉 [ 睿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건릉 [ 健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릉 (헌종) [ 景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연산군묘 [ 燕山君墓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홍릉 (정성왕후) [ 弘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홍유릉 [ 洪裕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헌릉 [ 獻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헌인릉 [ 獻仁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정릉 (중종) [ 貞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순릉 [ 順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원릉 [ 元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정릉 (신덕왕후) [ 貞陵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릉 [ 宣陵 ]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裕陵 擇地 풍수담론을 중심으로-

Changes to Construction of Royal Tombs and the Causes Thereof in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 - A case study on geomancy for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裕陵 擇地 풍수담론을 중심으로-

Changes to Construction of Royal Tombs and the Causes Thereof in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 - A case study on geomancy for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朝鮮王陵 石人像 硏究

조선왕릉 석인상 연구

동악미술사학 | 12 | 2011 | 기타예술체육

조선 정릉(貞陵) 사각 장명등(四角長明燈) 양식의 원류와 전개 -사찰 석등과의 비교를 통해 -

The Origin of the Square-Shaped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Royal Tomb and its Stylistic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Buddhist Temple Stone Lanterns-

문화재 | 43 | 4 | 2010 | 역사학

조선 정릉(貞陵) 사각 장명등(四角長明燈) 양식의 원류와 전개 -사찰 석등과의 비교를 통해 -

The Origin of the Square-Shaped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Royal Tomb and its Stylistic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Buddhist Temple Stone Lanterns-

문화재 | 43 | 4 | 2010 | 역사학

조선왕릉 봉분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일고 - 문헌에 기록된 석실과 회격의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Joseon Royal Tomb Tumulus

문화재 | 45 | 1 | 2012 | 역사학

왕릉자원해설 요소에 대한 지각과 방문만족 간의 관계 - IPA 확장과 대안적 적용 -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oyal Tomb Visitors'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Service and their Overall Visit Satisfaction:An Application of Alternative IPA

관광학연구 | 34 | 4 | 2010 | 관광학

왕릉자원해설 요소에 대한 지각과 방문만족 간의 관계 - IPA 확장과 대안적 적용 -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oyal Tomb Visitors'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Service and their Overall Visit Satisfaction:An Application of Alternative IPA

관광학연구 | 34 | 4 | 2010 | 관광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