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725

한자 : 康陵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노원구 (蘆原區)

소장처(자)

대한민국 (大韓民國)

지정호수_t

사적 제201호

지정일자_t

1970.05.26

주소_t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81 (공릉동 산 223-19)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왕릉 () [ 王陵 ]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쌍릉 [ 雙陵 ]

hasSubject (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명종 (1545-1567) [ 明宗 ]

hasSubject (주제)

묘(墓)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순왕후 () [ 仁順王后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강릉 [ 泰康陵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조선 왕릉 () [ 朝鮮王陵 ]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金庾信의 追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noring Kim, Yoo-shin

신라사학보 | 22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