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이수제

연구분야 : B1203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314

STNet ID : 1004644

한자 : 集中履修制
영어 : concentrating completion system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교과집중이수제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9 개정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敎育課程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9 개정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敎育課程 ]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정책의 평가 및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develpoment of Lee Myung Park Government’s curriculum policy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A Discussion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A Discussion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실제(敎科敎室制) 도입 가능성 타진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Subject Class System in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Sector

특수교육학연구 | 46 | 1 | 2011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쟁점과 과제: 고등학교 사회과목을 중심으로

Issues and Tasks of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social studies subject in high school

사회과교육연구 | 18 | 3 | 2011 | 사회교육학

2011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주요 쟁점과 초등도덕교육의 방향 모색

The Point at Issue of Moral Education in the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현황에 대한 학교 현장 반응 연구-중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Schools’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언어학 연구 | 22 | 2012 | 기타언어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학년도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실태와 가정과 교사의 인식

Current Stat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1 | 교육학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교육 전문가의 인식 분석 및 지원 방향 탐색

A Study of the Issues and Directions of Support for the Educational Policy of Schools' Autonomou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교육과학연구 | 43 | 1 | 2012 | 교육학

우상과 실상 :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Policy efforts for autonomous and diversified school curriculum:Paradoxical results and potential alternatives

교육과정연구 | 29 | 2 | 2011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음악교과의 영향 전망

Prospect on the Impact of Music Subject from the adap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음악교육연구 | 39 | 2010 | 음악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음악교과의 영향 전망

Prospect on the Impact of Music Subject from the adap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음악교육연구 | 39 | | 2010 | 음악학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The critical reflection and assignment for 2011 Practical Arts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5 | 2 | 2012 | 교육학

集中履修制 施行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編纂 方案

The Direction of Compiling the Hanmun Textbook in a Middle School with the Intensive Course Program Enforced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연구 -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2009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Directions for Future Revisions

중등교육연구 | 60 | 2 | 2012 | 교육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의 출제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History Item and Test in Nationwide Scholasic Achievement - Focus assessment items on history in middle school

역사교육연구 | 15 | 2012 | 역사교육

집중이수제 정책의 등장과 퇴장: 정책 실패가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a focused-learning policy failure in Korea

교육과정연구 | 30 | 3 | 2012 | 교육학

‘이수(履修)’를 중심으로 한 교과 집중이수제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Inquiry of the focused course-ta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교육과정연구 | 30 | 1 | 2012 | 교육학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Operation of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Utilizing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Operation of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Utilizing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