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개혁(개편/재편/혁신)
정책(제도)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113

STNet ID : 1005131

한자 : 二〇〇九改正敎育課程
영어 :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영어 : 2009 revised curriculum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y05-03 정책(제도)명

시대3

대한민국 시대 (大韓民國時代)

제정일자_t

2009년 12월 23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이해중심 교육과정 () [ 理解中心敎育課程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집중이수제 [ 集中履修制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학년군제 [ 學年群制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과군 [ 敎科群 ]

hasComponent (구성요소)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체험 활동 [ 體驗活動 ]

hasComponent (구성요소)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창의 인성 교육 () [ 創意人性敎育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 二○○九改定漢文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音樂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數學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社會科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美術科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 二○○九改正國語科敎育課程 ]

hasComponent (구성요소)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科學科敎育課程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선택과목 [ 選擇科目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집중이수제 [ 集中履修制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육과정 자율화 () [ 敎育過程自律化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 [ 二○一四學年度大學修學能力試驗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서와 문법 [ 讀書--文法 ]

PISA(2009)에 나타난 도덕교육 현황과 의미

Meanings and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e PISA(2009)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The critical reflection and assignment for 2011 Practical Arts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5 | 2 | 2012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통과정 기간 단축의 타당성 평가 -한·중·일 사회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Validity Evaluation on Shortening of General Requirement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analysi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시민교육연구 | 42 | 4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통과정 기간 단축의 타당성 평가 -한·중·일 사회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Validity Evaluation on Shortening of General Requirement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analysi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시민교육연구 | 42 | 4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 결정에 있어서의 국가의 간섭 조건

Conditions for the State to Intervene in Curriculum Decision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NIE의 체계적 실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Tentative Curriculum for Systematic NIE Implementa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2 | 2011 | 교육학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 in Foreign Countries

비교교육연구 | 21 | 4 | 2011 | 교육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古代 ‘佛敎史’ 서술 검토

A Review on the Description of Ancient Buddhism in High School Textbooks 'HANKUKSA: Korean History'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The Course of Revising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Its Nature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국가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성 관련 지침의 개선 방향 탐색 - 캐나다, 영국, 호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Creativity-related Guideline in the National Curriculum - Comparing with Canadian, English, and Australian Curriculum -

교육문화연구 | 17 | 2 | 2011 | 기타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Major Issues in the Process of Policy Determination

교육정치학연구 | 17 | 3 | 2010 | 교육행정/경영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Major Issues in the Process of Policy Determination

교육정치학연구 | 17 | 3 | 2010 | 교육행정/경영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과 관심수준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concern levels on the School Curriculum Autonom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4 | 2011 | 교과교육학

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grated Subject B and Other Countries' Art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여러 나라 1, 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통합 교과 B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tegrated Subject B and Other Countries' Art Curriculum for 1st and 2nd Grade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고등학교 검정 ‘한국사’교과서와 역사부도의 전근대 서술과 문제점

Contents Pertaining to the Premodern Era Found in the Authorized ‘Korean History’ High School Textbooks, Historical Maps and the Problems Therewith

한국사연구 | 152 | 2011 | 역사학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분석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기준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eoul Youth Centers’ Program -Based 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청소년학연구 | 17 | 9 | 2010 | 기타사회과학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분석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기준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eoul Youth Centers’ Program -Based 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청소년학연구 | 17 | 9 | 2010 | 기타사회과학

생태주의적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 모색: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Finding the direction of The ecological education of Music: based on bo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음악연구 | 45 | 2010 | 서양음악이론/분석

생태주의적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 모색: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Finding the direction of The ecological education of Music: based on bo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음악연구 | 45 | | 2010 | 서양음악이론/분석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의 교육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 ‘한국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to the Curriculum of ‘Ethics and Thought’ in High Schools : Focusing on ‘Korean Ethical Thought’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윤리연구 | 1 | 83 | 2011 | 학제간연구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정책의 평가 및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develpoment of Lee Myung Park Government’s curriculum policy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Directions of Develop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초등학교 교육의 최근 동향과 유초 연계교육 소고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

New Trends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heir Implications on Promoting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 Reflection on the Major Change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Education -

유아교육학논집 | 15 | 3 | 2011 | 교육학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n Analysis of Modern Short Stories and Novels in Literature Textbooks -Focu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ar High School Textbooks-

문학교육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Creative-Experience Activity’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교원교육 | 27 | 4 | 2011 | 교육학

학교 통일교육의 주요 방향에 대한 성찰

Reflections on the Plans to Improve Unificaton Education at Schools

통일문제연구 | 24 | 1 | 2012 | 정치외교학

2009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Issue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f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4 | 2 | 2011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상)』의 고려시대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Analysis of Description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for the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in 2009 Curriculum on the Koryo Dynasty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한국사』 교과서 편향성 논란과 교육과정 개정 일정의 문제점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집중이수제 정책의 등장과 퇴장: 정책 실패가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a focused-learning policy failure in Korea

교육과정연구 | 30 | 3 | 2012 | 교육학

도덕과 교육의 입장에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2009 year-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도덕과 교육의 입장에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2009 year-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 제안

A co-opp Proposa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Special School and Regular School Curriculum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동행 제안

A co-opp Proposa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Special School and Regular School Curriculum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3 | 2010 | 교육학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활용한 2009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 모형 개발

Model of Autonomic Implementation fo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Backward Design' Method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1 | 2011 | 교과교육학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A Discussion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A Discussion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공통경제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Issues with the Common Economics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경제교육연구 | 18 | 2 | 2011 | 경제교육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 관점으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

Art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null curriculum

미술교육논총 | 24 | 2 | 2010 | 미술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 관점으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

Art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null curriculum

미술교육논총 | 24 | 2 | 2010 | 미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무게중심 교수․학습 제안

Centroid teaching-learning suggestion for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수학교육 논문집 | 25 | 4 | 2011 | 수학교육학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통한 학교자치 실현 가능성 탐색

The exploration of the feasibility in school authorities through the liberalization policy of school curricul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3 | 2011 | 교과교육학

‘이수(履修)’를 중심으로 한 교과 집중이수제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Inquiry of the focused course-ta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교육과정연구 | 30 | 1 | 2012 | 교육학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Chang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urriculum

초등교육연구 | 25 | 3 | 2012 | 교육학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국어 음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찾기를 위한 제언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의 구성과 관련하여 -

A Proposal for finding new direction of Korean phonology education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음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찾기를 위한 제언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의 구성과 관련하여 -

A Proposal for finding new direction of Korean phonology education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단위 초등학교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2011학년도를 중심으로

Case studies of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07 & 2009 in Korea

교육과정연구 | 29 | 4 | 2011 | 교육학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Operation of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Utilizing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미술교과 운영방안

Operation of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s Utilizing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의 탐색 -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ion o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s: Focusing on Curriculum of the Canadian Province of Quebec

사회과교육연구 | 17 | 3 | 2010 | 사회교육학

2009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의 탐색 -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ion o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s: Focusing on Curriculum of the Canadian Province of Quebec

사회과교육연구 | 17 | 3 | 2010 | 사회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학년도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운영 실태와 가정과 교사의 인식

Current Stat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1 | 교육학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연구 - 농어촌 체험 및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Program in High School - Focusing on Experiencing and Volunteering the Aged Society of the Agrarian Areas -

교육문화연구 | 17 | 1 | 2011 | 기타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상 법 관련 내용의 연계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nection of Law-related Contents in 2009 Revised Curriculum

법교육연구 | 6 | 2 | 2011 | 기타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The Effects of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on the Technology Subject and Competency Development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1 | 1 | 2011 | 교육학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 내용 분석

A Analysis Study on Grammar Area of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법과 정치’ 과목의 교과서 체제 개선 방안: 법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The Suggestions for Structural Improvement of High School ?aw & Politics?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법과 정치’ 과목의 교과서 체제 개선 방안: 법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The Suggestions for Structural Improvement of High School ?aw & Politics?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Developmental Direct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on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in Korea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Developmental Direct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on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in Korea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사회과 선택교육과정 통합의 전략 연구 - '법'과 '정치'에서, '법과 정치'로 -

A Study of Strategies for Integrating Social studies' Elective Curriculum- From 'Law' and 'Politics', to 'Law and Politics' -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사회과 선택교육과정 통합의 전략 연구 - '법'과 '정치'에서, '법과 정치'로 -

A Study of Strategies for Integrating Social studies' Elective Curriculum- From 'Law' and 'Politics', to 'Law and Politics' -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An analysis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in Korea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An analysis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in Korea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1 | 2012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초등교육연구 | 23 | 3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점: 서울 지역을 사례로

Student Parents?Perspectives on the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점: 서울 지역을 사례로

Student Parents?Perspectives on the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육과정의 개발 절차와 주요 개정내용

The Procedures Taken for 2009 Curriculum Revision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and its Major Changes.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5 | 1 | 2012 | 교육학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Validity Analysis on a course grouping [Science/Practical Arts] and its rationale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Validity Analysis on a course grouping [Science/Practical Arts] and its rationale 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2 | 2010 | 교육학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Future Education Point of view

한국교원교육연구 | 29 | 1 | 2012 | 교육학

2009 교육과정의 맥락적 의의와 실현의 조건: 사회과의 시각에서

Contextual Meanings of the 2009 Korea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Conditions of Successful Realization in Classrooms: Based on the Case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2009 교육과정의 맥락적 의의와 실현의 조건: 사회과의 시각에서

Contextual Meanings of the 2009 Korea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Conditions of Successful Realization in Classrooms: Based on the Case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3 | 2010 | 교과교육학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구성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의 쟁점 및 과제

The Issue and Problems for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with [Science/Practical Arts] Subject Complex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구성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의 쟁점 및 과제

The Issue and Problems for 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with [Science/Practical Arts] Subject Complex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4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의 자율화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Experimental School for Curriculum Autonom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2 | 3 | 2012 | 교과교육학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reative activity curriculum: 100-excellent school in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30 | 2 | 2012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현황에 대한 학교 현장 반응 연구-중학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Schools’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언어학 연구 | 22 | 2012 | 기타언어학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쟁점과 과제: 고등학교 사회과목을 중심으로

Issues and Tasks of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social studies subject in high school

사회과교육연구 | 18 | 3 | 2011 | 사회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음악교과의 영향 전망

Prospect on the Impact of Music Subject from the adap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음악교육연구 | 39 | 2010 | 음악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음악교과의 영향 전망

Prospect on the Impact of Music Subject from the adap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음악교육연구 | 39 | | 2010 | 음악학

Das Konzept des neuen Deutschlehrwerkes für koreanische Mittelschüler

중학교 생활외국어(독일어) 집필의 기본컨셉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26 | 2010 | 독일어와문학

Das Konzept des neuen Deutschlehrwerkes für koreanische Mittelschüler

중학교 생활외국어(독일어) 집필의 기본컨셉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 26 | 2010 | 독일어와문학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신문 기사에 제시된 과학 용어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Terminology presented in a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and Newspaper Articles

교과교육학연구 | 16 | 1 | 2012 | 교과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Sentence Unit in the Textbook "Reading and Grammar"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集中履修制 施行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編纂 方案

The Direction of Compiling the Hanmun Textbook in a Middle School with the Intensive Course Program Enforced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Challenges and Futur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Challenges and Futur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3 | 1 | 2010 | 교육학

문법 과목의 영역 구조와 내용

The Study of Grammar Contents Design as Korean Elective Subject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과목의 영역 구조와 내용

The Study of Grammar Contents Design as Korean Elective Subject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년군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싱가포르 초등과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Singaporean primary-school science textbooks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grade-cluster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system

교육과정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식품 안전 교재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Safety Education Textbook on Agri-Food for Creative Activities of 2009 Revised Curriculum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4 | 3 | 2011 | 교육학

싱가포르의 시민 - 도덕과 교육과정 분석: 단위학교의 사회 / 도덕 교과군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1. An analysis of Singaporean civics-moral curriculum :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on the basis of subject-cluster system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2011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주요 쟁점과 초등도덕교육의 방향 모색

The Point at Issue of Moral Education in the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교과교육학연구 | 15 | 3 | 2011 | 교과교육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학습자료 분석과 활용 방안-대단원 ‘Ⅷ. 냉전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중심으로-

Method to Analyze and Utilize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Korean History』 Textbook of High School: Focusing on Unit 'Ⅷ. The Cold War System and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역사교육논집 | 47 | 2011 | 역사학

창의적 체험활동과 청소년단체활동의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youth group activity.

청소년학연구 | 17 | 9 | 2010 | 기타사회과학

창의적 체험활동과 청소년단체활동의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youth group activity.

청소년학연구 | 17 | 9 | 2010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