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문법

연구분야 : A1103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교육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141

STNet ID : 9001692

한자 : 讀書--文法
영어 : Reading and Grammar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국어과 교육과정 () [ 國語科敎育課程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9 개정 교육과정 () [ 二〇〇九改正敎育課程 ]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방안 - 2011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과목을 대상으로

Integrated Contents Construction of Korean Subject Curriculum - In 2011 Curriculum "Reading & Grammar" Subjec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국어 음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찾기를 위한 제언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의 구성과 관련하여 -

A Proposal for finding new direction of Korean phonology education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음운론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찾기를 위한 제언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의 구성과 관련하여 -

A Proposal for finding new direction of Korean phonology education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Sentence Unit in the Textbook "Reading and Grammar"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의 인식 변화와 문법 교재의 양상

Cognition Change of Grammar Education and Aspects of Grammar Texts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