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사회제도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428

STNet ID : 1004733

한자 : 國語科敎育課程
영어 : Korean language curriculum
영어 : Korean curriculum
영어 :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영어 :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동의어(UF) : 국어 교육과정(國語敎育課程)

d02-01 사회제도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국어 교육과정 () [ 國語敎育課程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교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국어과 () [ 國語科 ]

affects (영향)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국어 교과서 () [ 國語敎科書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내용 체계 [ 內容體系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서와 문법 [ 讀書--文法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 二○○七改正國語科敎育課程 ]

hasInstance (사례)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 二○一一改正國語科敎育課程 ]

발음 및 표기 오류의 음운 교육적 접근

The Phonological Educative Approach for the Errors of Pronunciation and Spelling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발음 및 표기 오류의 음운 교육적 접근

The Phonological Educative Approach for the Errors of Pronunciation and Spelling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운, 발음, 표기 교육의 연계 연구

A Study on the Linkage Plan in Phonological, Pronouncing, Orthographic Educations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운, 발음, 표기 교육의 연계 연구

A Study on the Linkage Plan in Phonological, Pronouncing, Orthographic Educations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Korean Grammar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Theory in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고력 중심의 읽기와 쓰기 통합 방법 연구 - 설득을 위한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Ways for Integration of Thinking-Oriented Reading and Writing : Around Text for Persuasion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관찰·추천을 통한 언어 영재의 선발 방안

A Study on How to Select Gifted Students in Language through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관찰·추천을 통한 언어 영재의 선발 방안

A Study on How to Select Gifted Students in Language through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On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In Search of the Applicability of Backward Design to Elementary Classroom

초등교육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

백워드 설계의 초등 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In Search of the Applicability of Backward Design to Elementary Classroom

초등교육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

교실 친화적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방향성 연구 -2007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of Classroom-Friendly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 Comparative Study of the Documents System of Language Arts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

교실 친화적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방향성 연구 -2007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of Classroom-Friendly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 Comparative Study of the Documents System of Language Arts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2 | 2010 | 기타교육학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구성 방식 연구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 23종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t Construction of the Domain Integration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domain of 23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구성 방식 연구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 23종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t Construction of the Domain Integration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domain of 23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문학의 위상 설정

A Study to Set up the Position of Literatur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과 통합 교육에 대한 고려 양상

Integrated Approach to Literacy Instruction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읽기 교육의 쟁점과 읽기의 중핵 성취기준 개발

Issues and Developing core standards of reading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읽기 교육의 쟁점과 읽기의 중핵 성취기준 개발

Issues and Developing core standards of reading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 정책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Policy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On the Notion ‘Discourse’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용 도서 구분의 쟁점과 과제

A Study on Issues and Assignm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 categoriz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2 | 2012 | 교육학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2):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쟁점과 그 해소

Ecology of Curriculum Standards of ‘Korean’(2):Disputed Points and Methods of Problem Solving in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1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Next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Next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과 운영 방안

Study on Category and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과 운영 방안

Study on Category and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중심의 교과 간 통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Korean Language and Other Subjects

청람어문교육 | 45 | 2012 | 국어교육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태도’ 범주의 문제점 고찰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A Critical Inquiry on ‘Attitude toward Writing’ in the 2011 Revision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A Study on Integr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lignment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Text Selection and the Alignment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3 | 1 | 2010 | 교육학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Study on The Education Contents of Literature Area of Amend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3 | 2011 | 교과교육학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On the System of the Advanced and Optional Subjec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On the System of the Advanced and Optional Subjec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The study on the subsections and criticizing of 2000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writing area-

작문연구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자기소개 연구

A study on self-introduction using storytelling

작문연구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A Alternatives and Suggestion to the Curriculum for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 의 위상에 관한 小論

A View about the Position of ‘Content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137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통합교육을 위한 문제해결 방안 연구 -화법․작문․독서에 관련된 사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Ways as Problem-Solving for Korean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Around Thinking Involved in Speech, Writing, Reading-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체계의 방향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Writing Area Contents System of Nex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 43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