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연구분야 :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04

STNet ID : 1000163

한자 : 國語敎科書
영어 : Korean language textbook
영어 : Korean textbook
영어 : Korean language textbooks
영어 : Korean textbook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교과 () [ 國語敎科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과목별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교과서 () [ 敎科書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국어 문법 교과서 [ 國語文法敎科書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국어과 교육과정 () [ 國語科敎育課程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문학 교과서 () [ 文學敎科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어독본 [ 朝鮮語讀本 ]

hasInstance (사례)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국어독본 [ 國語讀本 ]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국어독본』의 비교 - 제1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1·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Joseoneodokbon and Gugeodokb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1st and 2nd graders textbook of the 1st Educational Law Period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의 문제점:‘甲子 上疏文’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ext Selection: Focused on the case of Gapja Appeal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 국어과목을 중심으로 -

Curricular Changes of Chongryon Korean Schools in Japan: focused on Korean textbooks.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영화 관련 ‘매체언어’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2010년 도입 7학년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Accomplishments Standard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bout the Movie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영화 관련 ‘매체언어’의 성취 기준에 관한 연구 -2010년 도입 7학년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The Study on the Accomplishments Standard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bout the Movie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희곡 작품에 대한 고찰 - 「봉산탈춤」 과 극문학 작품 직접 연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ctions and systems of drama education at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문장부호 ‘따옴표’의 국어 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Quotation Mark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4‧19’와 현대 소설교육 -제2차 국어과 교육과정(1963~1973)을 중심으로-

4‧19 and Modern Novel Education in The 2nd Curriculum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와 현대 소설교육 -제2차 국어과 교육과정(1963~1973)을 중심으로-

4‧19 and Modern Novel Education in The 2nd Curriculum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On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초등 국어 교과서 문학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방향

Direction of Development in Literature-Centered Integration Unit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중학교 국어교과서 날개 어휘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wing vocabulary i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텍스트 질적 평가 방안 연구 -2007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Qualitative Measures Methods of Text Complexity for Text Leveling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8ㆍ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 1945. 8. 15~1946. 2 ―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on August 15- from August 15. 1945 to February 1946 -

사림 | 41 | 2012 | 역사학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Korean Textbook selec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3 | 2011 | 교육학

日帝强占期 普通學校 『朝鮮語及漢文讀本』의 性格 - 第一次 敎育令期 四學年 敎科書의 ‘練習’을 中心으로 -

Feature of 『Chosun-uh-gup-Hanmun-Dokbon』, Governmen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Exercises of the Textbook for 4th Grade at 1st Educational Law Period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논술 교육과 에듀테인먼트 전략 - 제7차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Literary essays education and Edutainment Strategies- Focusing on the 7th revision Korean textbook -

교육연구 | 48 | 2010 | 교과교육학

문학논술 교육과 에듀테인먼트 전략 - 제7차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Literary essays education and Edutainment Strategies- Focusing on the 7th revision Korean textbook -

교육연구 | 48 | | 2010 | 교과교육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장애관련내용 분석

An Analysi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 in Middle-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3 | 2012 | 교육학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in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검정 『국어』수록시 연구 - 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f Poems Carried in Korean, A Government-Endorsed Textbook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 With The Main Subject on The Text for The 8th Grade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유관순 관련 제재 국어 교과서 수록 연구

A Study of Gwansun Yu’s Inclus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Adoption Method and Context of Korean Textbook of Middle School following 2007 Revision of Curriculum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Adoption Method and Context of Korean Textbook of Middle School following 2007 Revision of Curriculum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oto materials of Hunminjeongeum(focu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re-colonial era

한어문교육 | 22 | 2010 | 국어교육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re-colonial era

한어문교육 | 22 | | 2010 | 국어교육

한일 교과서를 통해 본 <國語>교육 비교 考察 -1940년대 조선총독부 『よみかた』, 『初等國語』와 文部省 『よみかた』, 『初等科國語』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xtbooks of Korea-Japan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개발 원리 탐색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5 | 2012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 Change of 『Korean』Centering around Text’s Characteristic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신자유주의적 생존경쟁과 한국전쟁의 소설적 전유 -6,7차 교육과정기 국어,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A Neo-liberalistic Struggle for Existence and Novelistic Appropriation of the Korean War -based o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extbooks in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자유주의적 생존경쟁과 한국전쟁의 소설적 전유 -6,7차 교육과정기 국어,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A Neo-liberalistic Struggle for Existence and Novelistic Appropriation of the Korean War -based on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extbooks in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고찰 -품사별 분석을 통하여-

韓・日小学校1年の国語教科書の語彙考察 -品詞別分析を通じて-

일본어학연구 | 34 | 2012 | 일본어와문학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일본 오니 형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mparison of Tokkeabi and Oni Figures in Japa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일본 오니 형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mparison of Tokkeabi and Oni Figures in Japa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육과정에서 극 텍스트의 활용 양상 -중,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spects of drama text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s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국어 교육과정에서 극 텍스트의 활용 양상 -중,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spects of drama text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s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희곡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Centering on the Content of Dramas-

연극교육연구 | 1 | 18 | 2011 | 연극교육

2007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2007 Revised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3 | 2011 | 국어교육

고등학교 7차 改正 ‘<國語> 교과서’의 時調 文學敎育 실태

The real condition of Sijo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revised Korean text book of high school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고전 텍스트 수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look of containing classical texts in the highschool Korean textbooks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Film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a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Film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a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구성 방식 연구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 23종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t Construction of the Domain Integration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domain of 23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구성 방식 연구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 23종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nit Construction of the Domain Integration in Korean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domain of 23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일 모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비교-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unit structure in the nativelanguage textbook of Korea, China, Japan- focus on the 1st of middle school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국어 교과용 도서 구분의 쟁점과 과제

A Study on Issues and Assignmen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 categoriz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2 | 2012 | 교육학

국어교과서 정책의 과제

Tasks of polic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국어교육연구 | 28 | 2011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 정책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Policy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정 고등학교 교과서 서정 제재 연구

A Study on Lyric Material in Revised Korean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변화 경향과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의 특징

Some trends of change of the Korean textbooks a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방향

The Directions and Ways of Develoment of Korean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평가 연구

A Study on Students and Teachers’ Evaluation for Highschool Korean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7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of the grammar domain

국제언어문학 |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