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제도권 문학교육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양상을 중심으로-
Mainstream Literary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With a focus on Textbooks and Basic Readers-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Education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Making the Nation’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과 교과서’ 수록 詩歌의 식민 이데올로기
The Colonial Ideology of the Poems in Joseon Language Textbooks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과 교과서’ 수록 詩歌의 식민 이데올로기
The Colonial Ideology of the Poems in Joseon Language Textbooks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日帝强占期 普通學校 『朝鮮語及漢文讀本』의 性格 - 第一次 敎育令期 四學年 敎科書의 ‘練習’을 中心으로 -
Feature of 『Chosun-uh-gup-Hanmun-Dokbon』, Governmen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Exercises of the Textbook for 4th Grade at 1st Educational Law Period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교과서『조선어독본』에 수록된 단형 서사물의 변화 양상과 그 특징 ― 제1·3·4·7차 교육령기『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을 중심으로―
The changing aspect and the feature of the monotypic descriptions included in The language reading book of the Joseon Dynasty
아시아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과 『국어독본』의 비교 - 제1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1·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Joseoneodokbon and Gugeodokb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1st and 2nd graders textbook of the 1st Educational Law Period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