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만들기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정책(제도)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797

한자 : 國民--
영어 : Making the Nation

y05-03 정책(제도)명

시대3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시행국가(지역)

조선 (朝鮮)

입안자(관련자)

일본 (日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황국신민 [ 皇國臣民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국어독본 [ 國語讀本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어독본 [ 朝鮮語讀本 ]

‘국어’ 교과서의 형성과 일제 식민주의 -『국어독본』(1907)과 『조선어독본』(1911)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orean Textbook and Japanese Colonialism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초등교육과 ‘국민 만들기’-제3·4차 조선교육령기에 발행된 『普通學校朝鮮語讀本』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Education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Making the Nation’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 —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

‘ChoSun-uh-dokb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apanese imperialist — In the case of ‘Chosun-uh-Dokb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 forth educational law period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 근대의 마주침, ‘급진 민주주의’와 ‘중국 특색의 민주주의’

Encounter of two modern, ‘Radical Democracy’ and ‘Chinese-style Democracy’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