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본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31

STNet ID : 1000273

한자 : 讀本
영어 : reading text
영어 : reader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책(冊) () [ 冊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어독본 [ 朝鮮語讀本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신편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 [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 () [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Features and Functions for Each Medium of the Modern Letter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간(書簡)의 매체별 존재양상과 기능

Features and Functions for Each Medium of the Modern Letter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의 서간(書簡)과 글쓰기교육 -독본ㆍ척독ㆍ서간집 텍스트를 중심으로-

Letter and Writing Education at the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letter texts of reader, cheokdok(尺牘), letter collect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의 서간(書簡)과 글쓰기교육 -독본ㆍ척독ㆍ서간집 텍스트를 중심으로-

Letter and Writing Education at the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letter texts of reader, cheokdok(尺牘), letter collection-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3) —1930년대 독본(讀本)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Status of Early Modern Basic Readers(3) —With a focus on the negotiations and mutations of basic reader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3) —1930년대 독본(讀本)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Status of Early Modern Basic Readers(3) —With a focus on the negotiations and mutations of basic reader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제도권 문학교육 -교과서와 민간 독본의 양상을 중심으로-

Mainstream Literary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With a focus on Textbooks and Basic Readers-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독본류 교과서의 교재 연구 — 역사 인물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Reading Textbook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 Focus on the Historical Person's Units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The Aspect of Existence and Social Meaning of Letters Containing Korean Readers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독본, 수신 교과서의 우화 텍스트의 변화 양상

The Process of Change Regarding the Allegory Text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개화기 독본과 근대 서사의 형성

Basic Readers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rrative in the Enlightenment Era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독본(讀本)과 문학사(文學史)의 거리 - 이명선(李明善)을 중심으로 -

The distinction between Reading text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especially Myeong Sun Lee's case.

동남어문논집 | 1 | 31 | 2011 | 기타국어학

한국전쟁기 전시독본의 형성 기반과 논리

The Foundation and Logic of Reader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본(讀本)의 원리로서의 문학

Reader as a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본의 독자와 근대의 글쓰기

Readers of the Reader and Modern Writing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본의 독자와 근대의 글쓰기

Readers of the Reader and Modern Writing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