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改定 <문학> 교과서의 時調 수록 실태와 文學敎育
Literary Education and Actual Situation that Sijo is included in the Revised Literature Text Book of 2009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Goryeo-Sogyo in literary education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80년대 시의 교과서 수용 양상 연구: 2009년 개정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s of 1980's poetry in textbook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육과정 실천태(實踐態)로서의 문학 교재와 수업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s a Realization of Literary Curriculum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육과정 실천태(實踐態)로서의 문학 교재와 수업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s a Realization of Literary Curriculum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의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 문학
Kinder- und Jugendliteratur im deutschen Lesebuch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의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 문학
Kinder- und Jugendliteratur im deutschen Lesebuch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고등학교『문학』 교과서 수록 고전소설 텍스트의 출처 제시 오류에 대한 고찰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A Review on Errors of Presenting the Source of Classic Novel Text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for the High School - With th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교과에서 고전대하소설의 활용-<옥루몽>, <하진양문록>, <유효공선행록>을 중심으로-
On Putting Korean Classical Saga to Subject Matter in Literature-Textbook
문학교육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n Analysis of Modern Short Stories and Novels in Literature Textbooks -Focu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ar High School Textbooks-
문학교육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