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육

연구분야 : A1103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05

STNet ID : 1000164

한자 : 國語敎育
영어 : Korean language education
동의어(UF) : 한국어 교육(韓國語敎育)
영어 : Korean education
영어 : education of Korea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국어사 교육 () [ 國語史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초등 국어 교육 () [ 初等國語敎育 ]

hasKind (종류)

 

 

국어과 교육 [ 國語科敎育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국어 교육학 [ 國語敎育學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국어 수업 () [ 國語授業 ]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

Vocabulary selection and expressive effect - Centering on hyponymy -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

Vocabulary selection and expressive effect - Centering on hyponymy -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cient Poetic So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inking and Experienc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cient Poetic So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inking and Experienc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asks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arody of Classical Poetry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Critical Consideration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Centered on Description Problems in Modern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Critical Consideration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Centered on Description Problems in Modern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통, 치유, 공존의 국어교육 -노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Korean Education for Communication, Treatment, and Coexistence -Centering on Literacy of Old People-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통, 치유, 공존의 국어교육 -노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Korean Education for Communication, Treatment, and Coexistence -Centering on Literacy of Old People-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어휘 교육 내용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Vocabulary Educative Contents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비평, 그 가능성과 필요성

Linguistic Criticism, its Possibility and Necessity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수용에 대한 숙고

Reconsidering Multiculturalism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aboration of Text Complexity for the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1) -Focused on Critical Perspectives about Text Complexity Researche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헬스 리터러시 능력 비교 연구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model for Korean Language Arts

교육과정연구 | 30 | 2 | 2012 | 교육학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oto materials of Hunminjeongeum(focu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방송언어 활용사 - 거시적 관점의 서술을 중심으로 -

An History of the Us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the Educational Course of Korean - Especially of the Description from the Broad View-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subject of Educ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subject of Educ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어휘 교육의 목표와 의의

A Study on the Object and Significance of Lexical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과 ICT 문식성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ICT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3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과 ICT 문식성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ICT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3 | 2010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 Change of 『Korean』Centering around Text’s Characteristic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韓國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 分析

A Study of the reality of Korea’s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nd the Demands for It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 分析

A Study of the reality of Korea’s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nd the Demands for It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과 토론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사적 고찰

A Diachronic Investigation on the Reflected Aspect of Debate Curriculum in a High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연구의 응용언어학적 접근

An applied linguistics approach to Korean language research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체와 국어교육

Media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우리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Development writing assessment of ecological viewpoint in evaluation of 2007 revision curriculum language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Development writing assessment of ecological viewpoint in evaluation of 2007 revision curriculum language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반성적 성찰-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

Reflective Thinking about Curriculum and Textbooks- with Korean language as the center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假面劇敎育의 現況과 國語敎育的 設計 - 初․中等學生을 對象으로 한 경우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Mask Dram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1, 2차 교육과정기 국어교육계의 극 수용 연구

A Study on the Reception of Dram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During the Period of 1st, 2nd Curriculums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대만의 언어 정책과 국어교육 현황

Taiwan's Language Policy and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atus

국어교육연구 | 28 | 2011 | 국어교육

인터넷 언어의 국어교육 내용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et Language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언어의 국어교육 내용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et Language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Jeong Inseung’s (1897~1986) life and achievements as a Korean Linguist and Educator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Jeong Inseung’s (1897~1986) life and achievements as a Korean Linguist and Educator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희곡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변화와 교사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Change of Recogni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for Drama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희곡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변화와 교사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Change of Recogni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for Drama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On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지식 기반 사회의 핵심능력과 국어교육

A Study on Key Competencies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Korea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지식 기반 사회의 핵심능력과 국어교육

A Study on Key Competencies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Korea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문학교육, 도약을 위한 성찰-‘삶/생활을 위한’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Literary Education, Reflection for the Development-On the Centered Literary Education for the “life/lives”-

문학교육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국어과 교육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A Current Status and Special Teacher's Demand Analysis Study of Korean Subject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지적장애연구 | 12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국어과 교육에 대한 실태 및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A Current Status and Special Teacher's Demand Analysis Study of Korean Subject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지적장애연구 | 12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인지언어학에 기반을 둔 비유 교육 내용 연구

A study on contents of figure based on cognitive linguists

한국어 의미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The Nature of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s Narrative Expression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The Nature of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s Narrative Expression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Way of Presenting Learning Goals of pre-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과제

Academic identity and practic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of Method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Concentrated on Passive Expressions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및 쓰기 기초학력 검사 도구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Reading and Writing Diagnosis Tools for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및 쓰기 기초학력 검사 도구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Reading and Writing Diagnosis Tools for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교육의 이론과 실제

A Study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exical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어휘력 평가의 평가 요소와 평가 유형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and Factors of Lexical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시범 보이기’에서 나타나는 문제 양상

Problems Shown in ‘Demonstrations’ by Pre-Teachers of Korean Subject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사례에 대한 타당성 검토

Propriety Investigation about Application Case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Learning Model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The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외래어 표기 규범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Norm of Loan Word Repres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중학교 3학년용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A Study on Level-Differentiate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rts Online-Schooling for Middle School 3rd Graders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다문화시대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Process Drama for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ism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다문화시대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Process Drama for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ism

한국연극학 | | 40 | 2010 | 연극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and a Class Model for Korean Course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溫故而知新의 國語敎育學을 위하여 -國語敎育 學問 定立의 先驅者 蘭臺 李應百 先生을 기리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溫故而知新의 國語敎育學을 위하여 -國語敎育 學問 定立의 先驅者 蘭臺 李應百 先生을 기리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Korean Language Education’s Approach about Aspect of Fusio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A Survey of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육

Career education perspectiv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facilitator of grammar learning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국어과 사이버 가정 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중학교 2학년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vel-Differentiated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Language Arts Online-Schooling - for 2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국어교육에서 '통합'에 대한 관점

The viewpoint of integration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에서 '통합'에 대한 관점

The viewpoint of integration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What Classification of Texts is Fit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What Classification of Texts is Fit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과의 범교과적 위상

A study on the status across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과의 범교과적 위상

A study on the status across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제-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에 대한 고찰 - 설득 텍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pic/Focus‐centered Text Structure Typing

새국어교육 | 87 | 2011 | 국어교육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earner‐Centered Methods of Writing Assessment Result Presentation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A Critical Survey on the Cognitive Writing Education

작문연구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A Critical Survey on the Cognitive Writing Education

작문연구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Korean Textbook selec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3 | 2011 | 교육학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협상’ 담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호혜적 협상의 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Negotiation’ as Conversation Pattern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in-win negoti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협상’ 담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호혜적 협상의 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Negotiation’ as Conversation Pattern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in-win negoti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A Study on Storytelling Models for Grammar Education Contents as Edutainment Content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연극 비평에 나타난 극성 중심의 연극 읽기 연구

The Study on Theatre Reading Focused on the Dramatic Represented in Theatre Critique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읽기에서의 어휘 시소러스(thesaurus)의 응용

Adapting Thesauruses on Reading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일 교과서를 통해 본 <國語>교육 비교 考察 -1940년대 조선총독부 『よみかた』, 『初等國語』와 文部省 『よみかた』, 『初等科國語』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language Textbooks of Korea-Japan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국어교육의 독서활동 평가방법과 입학사정관제 연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Evaluation of Reading Activity in Korean Education an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교육연구 | 52 | 2011 | 교과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