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348
한자 : 初等英語敎育
영어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영어 : Primary English Education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C:공통속성 |
hasSubject (주제) |
|
|
시리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초등학생의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ing Series Animation o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Domains
언어학 연구 | 23 | 2012 | 기타언어학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 영어교육에 적용해 본 박물관 학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useum Method Applied to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Optional Activity Class
언어학 연구 | 19 | 2011 | 기타언어학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문화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ultural Studie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과업 전 계획 활동을 통한 초등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peaking ability of Korean EF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pre-task planning activities
초등영어교육 | 17 | 2 | 2011 | 영어교육
기초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초등학생들의 국가수준 영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수행 비교
The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between Basic and Below Basic levels
초등영어교육 | 18 | 1 | 2012 | 영어교육
초등영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 연구
Teachers'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언어과학 | 19 | 3 | 2012 | 언어학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실영어구사력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A Teaching Model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Classroom English Skill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실영어구사력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A Teaching Model for Primary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Classroom English Skill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학교에서의 영어원어민 교사와의 효과적인 협동수업: 우수학교 사례 중심으로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eam-teaching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Elementary Schools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
초등학교 영어몰입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연구학교 교사의 시각에서
Reflections on the problems with English immersion programs: Perspectives of in-service teachers at primary English immersion schools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학교 영어몰입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연구학교 교사의 시각에서
Reflections on the problems with English immersion programs: Perspectives of in-service teachers at primary English immersion schools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
패턴 시를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 및 쓰기 지도
A study on using pattern poetry to teach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o elementary student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패턴 시를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 및 쓰기 지도
A study on using pattern poetry to teach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o elementary student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을 통한 초등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및 장르 지식의 발달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 and genre knowledge through a genre-based approach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1 | 2011 | 언어학
초등학교 사회과 특성화 영어 몰입식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에 끼친 영향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from a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 for a social studies class specially grouped for tal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영어교육 | 16 | 3 | 2010 | 영어교육
초등학교 사회과 특성화 영어 몰입식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에 끼친 영향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from a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 for a social studies class specially grouped for tal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영어교육 | 16 | 3 | 2010 | 영어교육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Content-based Instruction at Primary School: Perspectives from Students
인문학논총 | 26 | 2011 | 기타인문학
초등학교 특성화 학급을 위한 영어 몰입식 사회과 수업 모형 개발과 적용 연구
A study on implementing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for a social studies class specially grouped for tal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영어교육 | 16 | 1 | 2010 | 영어교육
초등학교 특성화 학급을 위한 영어 몰입식 사회과 수업 모형 개발과 적용 연구
A study on implementing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for a social studies class specially grouped for tal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영어교육 | 16 | 1 | 2010 | 영어교육
초등영어 교육실습 현황과 예비교사들의 인식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ituations of English teaching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s
초등영어교육 | 17 | 2 | 2011 | 영어교육
초등영어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영어교과교육 | 9 | 1 | 2010 | 영어교육
초등영어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기능과 언어형식
영어교과교육 | 9 | 1 | 2010 | 영어교육
초등영어 보정교육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medi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연구 | 22 | 2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영어 보정교육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medi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연구 | 22 | 2 | 2010 | 영어와문학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The realiti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eaching methods, TE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The realiti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eaching methods, TEE, native English teach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영어교과교육 | 9 | 3 | 2010 | 영어교육
TEE 수업능력 신장을 위한 예비 초등영어교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모의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implement microteaching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EE ability in their teacher training course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1 | 2012 | 언어학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orytelling-Enhanced English Lessons on Primary School Students' Oral Skills and Learning Attitudes
교육과학연구 | 43 | 1 | 2012 | 교육학
서울 강남지역 교사․학부모의 초등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2 | 2011 | 언어학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 능력 신장 방안
A study on a way of developing elementary students’ autonomy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1 | 2011 | 언어학
2008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 3, 4학년 교재의 챈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nts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2008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초등영어교육 | 17 | 3 | 2011 | 영어교육
초등학교 영어 몰입식 실과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f implementation of a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model for practical art and its applic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7 | 1 | 2010 | 언어학
초등학교 영어 몰입식 실과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f implementation of a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model for practical art and its applic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7 | 1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