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문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46

STNet ID : 1000815

한자 : 祭文
영어 : funeral address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문文 (글) [ 文 ]

N1:종류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망실제문 [ 亡室祭文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제망실문 [ 祭亡室文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제망매문 [ 祭亡妹文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제망녀문 [ 祭亡女文 ]

R1:개념적

RT (관련어)

 

 

망매 [ 亡妹 ]

RT (관련어)

 

 

망녀 [ 亡女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사 [ 祭祀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축문 [ 祝文 ]

RT (관련어)

 

 

숭겸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조의제문 [ 弔義弟文 ]

品山 李壽嵒의 삶과 문학 세계

The life and literature of Pum-san(品山) Lee su am(李壽嵒)

동방한문학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元代 漢語敎材 原本≪老乞大≫의 特指疑問文 유형과 특성 고찰

A study of the Specific Interrogative Sentences in Chinese Text Lao Qi Da(老乞大) of The Yuan Dynasty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元代 漢語敎材 原本≪老乞大≫의 特指疑問文 유형과 특성 고찰

A study of the Specific Interrogative Sentences in Chinese Text Lao Qi Da(老乞大) of The Yuan Dynasty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뇌(誄)의 문체적 특성과 문학사에서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tyle of Lei(誄) & the aspects of Lei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뇌(誄)의 문체적 특성과 문학사에서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tyle of Lei(誄) & the aspects of Lei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치전 제문의 형식과 애도의 표현양상

A Study on the literary genre to mourn the death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치전 제문의 형식과 애도의 표현양상

A Study on the literary genre to mourn the death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