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7

한자 : 祭祀
영어 : sacrificial rites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제의성 [ 祭儀性 ]

S:동의

UF (비우선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향사 [ 享祀 ]

N1:종류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조상제 [ 祖上祭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고사 [ 告祀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여제 [ ?祭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B01 행위/행동/역할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소상 [ 小祥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담제 [ 禫祭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승중 [ 承重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국가 제사 [ 國家祭祀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재일 동포 제사 [ 在日同胞祭祀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성황발고제 [ 城隍發告祭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석전제 [ 釋奠祭 ]

hasKind (종류)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마을 제사 [ --祭祀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청명제 [ 淸明祭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사 () [ 郊祀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묘제 [ 墓祭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향 [ 祭享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문묘종사 [ 文廟從祀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고제 [ 告祭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a01-07 준인간 준인간

지기 [ 地祇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Y99 기타 인스턴스명 기타 인스턴스명

제사상 [ 祭祀床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영정 [ 影幀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주상 [ 主喪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사 의례 [ 祭祀儀禮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종법 제도 [ 宗法制度 ]

RT (관련어)

 

 

전중 [ 傳重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봉제사 [ 奉祭祀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종답 [ 宗畓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향소 [ 享所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묘 [ 入廟 ]

RT (관련어)

 

x02-03 시점 시점

기일 [ 忌日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레위기 [ --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숙안지악 [ 肅案之樂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옥기 문화 [ 玉器 文化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음복 [ 飮福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재실 (제사) [ 齋室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흠향 [ 歆饗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제문 [ 祭文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제사 용품 [ 祭祀用品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신주 [ 神主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위토전 [ 位土田 ]

RT (관련어)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귀절 [ 鬼節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조상신 [ 祖上神 ]

RT (관련어)

 

 

철변두 [ 撤?豆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주제자 [ 主祭者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원구단 [ 圜丘壇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상장례 [ 喪葬禮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의례 문화 [ 儀禮文化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B01 행위/행동/역할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진설 [ 陳設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조상 숭배 () [ 祖上崇拜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전 [ 祭奠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제사 주재자 [ 祭祀主宰者 ]

isManagedBy (관리 주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헌관 [ 獻官 ]

『예기』 텍스트의 개념지도 분석을 통한 사회적 덕목으로서 ‘신뢰’ 연구

A Study about Confidence as Social Virtue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 Map of the Li Ki Text

동아시아문화연구 | 51 | 2012 | 기타인문학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北魏 皇帝 巡幸의 性格 ― 巡幸頻度․巡幸期間․巡幸活動의 統計的 分析을 중심으로 ―

皇帝巡幸的性格-以巡幸頻度·巡幸期間·巡幸活動的統計的分析爲中心-

중국고중세사연구 | 26 | 2011 | 역사학

隆熙年間 公文書를 통해 본 慶基殿의 운영실태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of Gyeonggijeon Management through Official Documents between 1907-1910

인문과학연구 | 29 | 2011 | 기타인문학

秦漢사회 樂舞의 諸相 ― 제국의 통합기제를 중심으로 ―

秦漢社會樂舞的諸相

중국고중세사연구 | 23 | 2010 | 역사학

秦漢사회 樂舞의 諸相 ― 제국의 통합기제를 중심으로 ―

秦漢社會樂舞的諸相

중국고중세사연구 | | 23 | 2010 | 역사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과 로버트 덩컨의 연작시 비교 연구 ― 무한한 연작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ies Poem of Yi Sang and Robert Duncan: Centering around Infinite Series Poem Styl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과 로버트 덩컨의 연작시 비교 연구 ― 무한한 연작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ies Poem of Yi Sang and Robert Duncan: Centering around Infinite Series Poem Styl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A Characteristic of Arch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Animal Sacrifice in paek-che Area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일본의 ‘이민족’ 해석과 ‘국가’ 재현의 딜레마

Dilemma of Interpretation on Different Ethnics and National Reappearance in Japan

아태연구 | 19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중용장구』에 나타난 주자의 귀신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ussion on Ghost of Jooja in Joongyong (The Principle of the Mean)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궁묘 제사 관련 한글문헌의 문헌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Hangeul Literature on Late Joseon Gungmyo Rituals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조선후기 궁묘 제사 관련 한글문헌의 문헌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Hangeul Literature on Late Joseon Gungmyo Rituals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1911년 『신약젼셔』의 히브리서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제사와 예배에 관한 문화사적 연구

A Cultural Historical Study of Worship and Rituals in Hebrews and Revelation of The Complete New Testament in Korean (1911)

성경원문연구 | 27 | 2010 | 기독교신학

1911년 『신약젼셔』의 히브리서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제사와 예배에 관한 문화사적 연구

A Cultural Historical Study of Worship and Rituals in Hebrews and Revelation of The Complete New Testament in Korean (1911)

성경원문연구 | | 27 | 2010 | 기독교신학

백제 국가의례의 종류와 음악

National Ceremonies and Ceremonial Music of the Paekche Kingdom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피의 다양한 기능 및 종교사회적 배경

Blood in Ancient Israelite Religion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82 | 2012 | 기독교신학

조상제사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한국 교회 영성 형성의 과제와 관련하여 -

How Should We Understand Ancestor Worship? - A Study for the Spiritual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신학과 실천 | 30 | 2012 | 기독교신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상제사의 의미와 기억의 의례화儀禮化

The Meaning of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nd the Ritualization(儀禮化) of memor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우연히 엿들은 ‘신령들의 제물 품평’> 설화군의 전승 양상과 그 의미

Patterns and meanings of folktale-cycle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