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공간

연구분야 : D150602 공학 > 건축공학 > 건축의장 > 공간론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516

STNet ID : 1004800

한자 : 公共空間
영어 : Public space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도로 [ 道路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보행 공간 () [ 步行空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시 광장 () [ 都市廣場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공원 (시설) [ 公園 ]

R1:개념적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장소 정체성 () [ 場所正體性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지속 가능한 디자인 [ 持續可能--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공공 디자인 () [ 公共-- ]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사회문화적 의의 - 공간의 사회적 구성의 관점에서 -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Shopping Mall as an Urban Leisure Space: A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Approach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도시여가공간으로서 복합쇼핑몰의 사회문화적 의의 - 공간의 사회적 구성의 관점에서 -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Shopping Mall as an Urban Leisure Space: A Social Construction of Space Approach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서울 도시 갤러리 프로젝트의 외부공간 공공미술 실태 분석 연구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Public Art of Exterior Space of The Seoul City Gallery Projec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서울 도시 갤러리 프로젝트의 외부공간 공공미술 실태 분석 연구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Public Art of Exterior Space of The Seoul City Gallery Project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공공 공간에서의 디지털 전통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Digital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in Public Spac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공공 공간에서의 디지털 전통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Digital Contents of Traditional Culture in Public Spac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식민권력과 광장공간: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Colonial Power and the Square Spac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수변환경과 도시구조간의 물리적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 보스턴 찰스 강과 주변 도시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Urban Waterfront’s Physiographic Influence on Urban Form, Boston, USA - A Case Study of the Charles River Waterfront in Boston's Central Area, USA

도시설계 | 11 | 5 | 2010 | 도시개발/계획

수변환경과 도시구조간의 물리적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 보스턴 찰스 강과 주변 도시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Urban Waterfront’s Physiographic Influence on Urban Form, Boston, USA - A Case Study of the Charles River Waterfront in Boston's Central Area, USA

도시설계 | 11 | 5 | 2010 | 도시개발/계획

일본 도쿄 상업·업무지구에서의 규제완화형 도시재생정책과 사업전개 실태분석

Analyzing Urban Redevelopment Status under the Deregulated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Tokyo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일본 도쿄 상업·업무지구에서의 규제완화형 도시재생정책과 사업전개 실태분석

Analyzing Urban Redevelopment Status under the Deregulated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Tokyo

도시설계 | 11 | 1 | 2010 | 도시개발/계획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공 미술을 통한 공공 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Public Space through Public Art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공공공간을 고려한 수변공동주택 계획 방향 - 런던 도크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A Direction of Planning Waterfront Multi-family Housing in Consideration of Public Space - A Case study on London Docklands

도시설계 | 13 | 2 | 2012 | 도시개발/계획

거리공연자들의 공연장소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홍대지역 내 공급된 거리공연장소들과 실제 거리공연장소들의 비교사례조사를 중심으로

Study on Factors of Street Performers’ Choice for Performing Place - Focused on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esignated street performing place and actual street performing place around Hongdae Area

도시설계 | 13 | 3 | 2012 | 도시개발/계획

도시 공공 공간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sing Storytelling for Activation of Urban Public Space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5 | 2011 | 기타예술체육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공공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Space Design using Storytelling Method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1 | 2010 | 디자인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공공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Space Design using Storytelling Method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1 | 2010 | 디자인

디자인 계획요소로 본 컴팩트 시티형 복합용도시설의 공공공간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Public Space in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디자인 계획요소로 본 컴팩트 시티형 복합용도시설의 공공공간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Public Space in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소셜미디어 특성에 기반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The Interaction Design for Public Spa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한국디자인포럼 | 32 | 2011 | 디자인

플래툰 쿤스트할레의 공공공간의 사용자현황 및 공간과의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lational to Using Status and Connection with Space in Public Space of Platoon Kunsthal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5 | 2011 | 디자인

에네르기-파사젠: 인터랙티브 사고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Energie‐Passagen: Zur Inszenierung des interaktiven Denkraums

미술이론과 현장 | 10 | 2010 | 미술

에네르기-파사젠: 인터랙티브 사고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Energie‐Passagen: Zur Inszenierung des interaktiven Denkraums

미술이론과 현장 | | 10 | 2010 | 미술

공공공간의 컨텍스트 표현 특성 연구 - 청계천 거리, 광화문 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of Public Spac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CheongGye-Cheon and the Gwanghwamun Squar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지하철역 역세권 공공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around the Subway Station Spher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6 | 4 | 2011 | 실내환경디자인

공공 공간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전략 연구 : 인천국제공항 입국 심사장을 중심으로

A Study of Service System Design Strategy for Public Space : With the Port of Entr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the center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공공공간에 대한 소수자의 권리를 위한 시론: 거리노숙인의 ‘도시에 대한 권리’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Minority Rights to Public Space: Focusing on 'the right to the city' for rough sleepers

공간과 사회 | 21 | 2 | 2011 | 지리학

공공공간의 가구디자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거리쓰레기통에 대한 관리자와 보행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treet-furniture in public space by semiologie method - Analysis of street-wastebasket based on relation of administrator and pedestrian -

한국디자인포럼 | 26 | 2010 | 디자인

1949년-1952년 중국국민경제복구시기 공공공간에 관해 분석연구 - 광장 공간 유형 및 특징을 연구중심으로

China's national economic recovery period of public space analysis research from 1949-1952 - research center: square sp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디자인학연구 | 23 | 3 | 2010 | 디자인

1949년-1952년 중국국민경제복구시기 공공공간에 관해 분석연구 - 광장 공간 유형 및 특징을 연구중심으로

China's national economic recovery period of public space analysis research from 1949-1952 - research center: square sp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디자인학연구 | 23 | 3 | 2010 | 디자인

공간의 시각적 이해과정에 나타난 주시유형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의 로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bservation Type at the Process of Visual Understanding - Focused on the Lobby in the Public Space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공간주시특성의 유형화를 위한 시간범위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t-up of Time Range for Typology of Space Observation Characters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4 | 2012 | 디자인

대안적 공공공간으로서의 로컬의 전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Local Space as a Alternative Public Space

인문사회과학연구 | 26 | 2010 | 학제간연구

대안적 공공공간으로서의 로컬의 전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Local Space as a Alternative Public Space

인문사회과학연구 | | 26 | 2010 | 학제간연구

현대 공공공간의 스트리트 퍼니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treet Furniture Design in Modern Public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