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목적지 애착도에 관한 연구 - 선행변수로서의 매력성, 자아표현과 라이프스타일에의 중심성과, 결과변수로서의 충성도를 중심으로 -
Study on Tourist Destination Attachment - Focused on Attraction, Self Expression and Centrality to Lifestyle as Antecedents, and Loyalty as Consequence -
관광연구 |
26 |
3 |
2011 |
관광학일반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Place Marketing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A Critique of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Place Marketing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A Critique of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지명’과 ‘길’로 읽는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과 변천 - 일제강점기와 그 전ㆍ후 시기를 중심으로 -
Reading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입체/복합시설 공중공간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Place Identity of Space above Ground in Mixed-use Complexes - The case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도시설계 |
12 |
1 |
2011 |
도시개발/계획
오사카 조선시장의 공간정치 ―글로벌화와 장소성의 변용
Spatial Politics in Osaka Chosun Market ―Globalization and Changes of Place Identity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Place Identity of Open Space in Mixed-use Complex - The Cases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도시설계 |
11 |
4 |
2010 |
도시개발/계획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 도시재생 입체/복합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Place Identity of Open Space in Mixed-use Complex - The Cases of Mixed-use Complex Planning for Urban Regeneration in Tokyo, Japan
도시설계 |
11 |
4 |
2010 |
도시개발/계획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낙원의식과 로컬리티 - 「이어도」, 『당신들의 천국』,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adise-cognition and Locality in Lee Cheong-Jun' novels -Focused on 「I-eo-do(이어도)」, 『Yours' Paradise(당신들의 천국)』 and 『An Island Swallowed Myths(신화를 삼킨 섬)』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낙원의식과 로컬리티 - 「이어도」, 『당신들의 천국』,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adise-cognition and Locality in Lee Cheong-Jun' novels -Focused on 「I-eo-do(이어도)」, 『Yours' Paradise(당신들의 천국)』 and 『An Island Swallowed Myths(신화를 삼킨 섬)』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Education of Self-identity Based on Plac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9 |
2 |
2011 |
지리학
현대 영화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장소감 연구 —<콘스탄틴>와 <러블리 본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of Afterlife: Focused on Constantine and The Lovely Bones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관광목적지 장소애착의 구성요인이 해설 만족, 관여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ourist Destination’s Place Attachment Constructs on Interpretation Satisfaction, Involvement and Loyalty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3 |
2011 |
기타지리학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The Change of Geographical Names' Territory and Representation of Place Identity with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hungju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2 |
2010 |
지리학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The Change of Geographical Names' Territory and Representation of Place Identity with Place Names: A Case Study of Chungju Geographical Nam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2 |
2010 |
지리학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박남수 시의 재인식― ‘이미지’에 가려진 분단의 상처
New understanding of Park, Nam-soo's poem-Scars of Korea's division, hidden by ‘Image’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광화문 광장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 이용 행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place identity of Gwanghwamun Square -Consumer use act and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center
기초조형학연구 |
12 |
4 |
2011 |
예술일반
상업지역 장소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로공간 구성요소 - 명동의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n Place Identity in Commercial Streets - Focused on Commercial Streets in Myung-dong, Seoul
도시설계 |
12 |
1 |
2011 |
도시개발/계획
관광목적지 장소정체성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the Place Identity of a Tourist Destination
관광학연구 |
35 |
6 |
2011 |
관광학
도심 속 여가공간으로서의 수변공원 가치와 장소정체성
The values and place-identity of waterfront park as leisure space in the city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1 |
2010 |
체육
도심 속 여가공간으로서의 수변공원 가치와 장소정체성
The values and place-identity of waterfront park as leisure space in the city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3 |
1 |
2010 |
체육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lace identity in Daehak-ro
대학로의 장소정체성 분포패턴 연구
도시설계 |
13 |
2 |
2012 |
도시개발/계획
공공공간의 장소정체성을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방안 연구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the Place Identity of Public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4 |
2011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