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성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569

STNet ID : 1004821

한자 : 鄕土性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전통성 [ 傳統性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e04-02 관념적공간 /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향토 [ 鄕土 ]

오영수 소설에 나타난 서정적 리얼리즘 연구

A study on lyrical realism in Oh Young-su’s novels

국제어문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영수 소설에 나타난 서정적 리얼리즘 연구

A study on lyrical realism in Oh Young-su’s novels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Namwon poetry of Maewol-dang Sayou-rok and the local color of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아름다움’에 이르려는 방황: 임학수론

Wandering in Search of Beauty: The Theory of Im Hak So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수복 시 연구

A Study on Lee Su-bok's Poetry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 인식과 근대 민족시론의 형성 ―1920년대 김억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Cognition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poetics ― on Kim Eok’s poetry and his poetics in 1920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仁川市 行政區域 名稱과 學校 名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and School Names of Incheon

지명학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仁川市 行政區域 名稱과 學校 名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and School Names of Incheon

지명학 | 1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향토 담론

Local Discussion in Colonial Korea for the Pacific War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향토 담론

Local Discussion in Colonial Korea for the Pacific War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후반기 시에 나타난 향토성 문제

The Issues of Rurality in Korean Poetry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후반기 시에 나타난 향토성 문제

The Issues of Rurality in Korean Poetry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김조규 시의 ‘향토’와 ‘혼종성’ 연구

A Study on the 'Rurality' and 'Hybridity' of Kim Joh-Kyu's Poe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인상주의의 향토적 소재와 색채 -1930년대 이인성・오지호를 중심으로-

Indigenous Materials and Color of Impressionism in Korea -With Focus on Lee In-Sung and Oh Chi-Ho in the 1930s-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인상주의의 향토적 소재와 색채 -1930년대 이인성・오지호를 중심으로-

Indigenous Materials and Color of Impressionism in Korea -With Focus on Lee In-Sung and Oh Chi-Ho in the 1930s-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