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기타주제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382

STNet ID : 1001277

한자 : 鄕土

e04-02 관념적공간

Z99 기타주제어

추천범주_t

문학 테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향토 문학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향토사 교육 () [ 鄕土史敎育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한양가 () [ 漢陽歌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향토성 [ 鄕土性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유정 (1908-1937) [ 金裕貞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향토 자료 [ 鄕土資料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향토색 [ 鄕土色 ]

고전시가와 민족정서 교육-1920년대 시조 및 민요 재발견의 공과(功過)를 바탕으로-

Korean Classical Songs and National Emotion Education -Based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discovery of Sijo and Minyo in 1920's-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근대 중국에서 ‘鄕土’ 개념의 전개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Native Place(XiangTu)' in Modern China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근대 중국에서 ‘鄕土’ 개념의 전개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Native Place(XiangTu)' in Modern China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자연 공간의 담론화 양상 연구

A Study on Discourse of Nature spaces apeared in Kim Yu Jung’s Literatur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자연 공간의 담론화 양상 연구

A Study on Discourse of Nature spaces apeared in Kim Yu Jung’s Literature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 문학의 향토성 재고(再考)-30년대 향토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n the Locality Expressed in Kim Yu Jung’s Literature-Focused on comparison with discourse on locality in the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지방주의와 향토 —金鍾漢에 기대어—

New Localism and a Home-land - Rely on Kim Jong-h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The Concept of ‘Hyangto(Native Pl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The Concept of ‘Hyangto(Native Pl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