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소설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02

한자 : 探偵小說
영어 : Detective story
영어 : Detective Fiction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유사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추리 소설 () [ 推理小說 ]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 (2) -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2)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Second Half-year-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본 추리소설의 서사 구조

A narrative structure of detective fiction on education of composi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L’Afrique imaginaire d’A.D.G., remarques à propos des clichés dans Balles Nègres

A.D.G.의 상상적인 아프리카, 『검둥이의 탄알들Balles nègres』 안의 클리쉐에 관하여

불어문화권연구 | 21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도시, 미로(迷路)에 대한 오랜 꿈의 실현과 좌절 ― 김내성 장편 탐정소설 <마인>을 중심으로

Modern City,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a long dream on maze - Focusing on the detective novel of Kim Nae-Seong, <Ma-I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Ratiocination Effect in Paul Auster's The New York Trilogy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The Ratiocination Effect in Paul Auster's The New York Trilogy

현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김유정의 「잃어진 寶石」과 반 다인 소설 번역의 맥락

A study on Translated Novels of Kim Yujung's 「Lost Jewel」 and S. S. Van Dine's Novels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과도기의 형식과 근대성─근대계몽기 신문연재소설 ≪神斷公案≫과 형식의 계보학

Repressed Modernities in the Process of Literary Modernization: Sindan gong'an and the Genealogy of Literary Forms

중국문학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과도기의 형식과 근대성─근대계몽기 신문연재소설 ≪神斷公案≫과 형식의 계보학

Repressed Modernities in the Process of Literary Modernization: Sindan gong'an and the Genealogy of Literary Forms

중국문학 | 63 | | 2010 | 중국어와문학

번역과 번안 간의 거리 -김내성의 번안탐정소설 <심야의 공포>를 중심으로-

Distance between Translation and Adaptation -Based on Nae-Su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of ‘Night Breed’-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과 번안 간의 거리 -김내성의 번안탐정소설 <심야의 공포>를 중심으로-

Distance between Translation and Adaptation -Based on Nae-Su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of ‘Night Breed’-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과 식민지적 아이덴티티 ― 김내성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

Detective Novels and a Colonial Identity focused on Kim Nae-seong's Japanese novels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기 탐정소설 연구

A Study on Publication Situation and Peculiarities of Detecti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탐정소설 연구

A Study on Publication Situation and Peculiarities of Detecti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김내성 번안 추리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 아서 코난 도일의 원작 속 공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perception in Nae-Seo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pace in respect of Arthur Conan Doyle's original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내성의 『탐정소설가의 살인』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 분석

A Semiotic Narrative Analysis on ‘A Detective Novelist’s Murder ’ by Kim Nae Sung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하드보일드 탐정소설의 장르적 특성 연구: 레이먼드 챈들러의『깊은 잠』

Characteristics of Hard-boiled Detective Fiction: Raymond Chandler’s The Big Sleep

미국학 논집 | 44 | 2 | 2012 | 영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정소설, 소년과 모험을 떠나다 -1920년대 방정환 소년탐정소설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의

Detective Stories, ‘Setting off for Adventure with Children’ -The Meaning and Position of Bang Jung-hwan’s Detective Stories for Children in the Literary Histor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과학과 엽기, 그 사이에서 -탐정소설 <염마>와 <수평선 너머로>를 중심으로

Between Science and Bizarre -Focusing on Two Detective Stsories and

대동문화연구 | 72 | 2010 | 기타인문학

과학과 엽기, 그 사이에서 -탐정소설 <염마>와 <수평선 너머로>를 중심으로

Between Science and Bizarre -Focusing on Two Detective Stsories and

대동문화연구 | | 7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