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 소설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418

STNet ID : 1002584

한자 : 推理小說
영어 : Detective novel
기타 : 推理小説
프랑스어 : roman policier
영어 : Detective Fiction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미스터리 소설 () [ --小說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대중 서사 () [ 大衆敍事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도피 문학 [ 逃避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범죄 소설 () [ 犯罪小說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대중 소설 () [ 大衆小說 ]

B2:전체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역사 추리 소설 () [ 歷史推理小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탐정 [ 探偵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모험 소설 () [ 冒險小說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포우 [Poe, Edgar Allan]

RT (관련어)

 

 

코넌 도일

RT (관련어)

관련 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일곱 박공의 집 [ --牔栱-- ]

RT (관련어)

유사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정탐 소설 () [ 偵探小說 ]

RT (관련어)

유사

 

탐정소설 () [ 探偵小說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추리 서사 () [ 推理敍事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모르그가의 살인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베르나르 아시니위의 소설 『잘린 팔』에 나타나는 식민적 상황과 인디언의 복수

Situation coloniale et vengeance d'un Algonquin dans Le Bras coupé de Bernard Assiniwi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野口赫宙(張赫宙)의 새로운 작가적 모색으로서의 추리소설에 대한 고찰

Noguchi Gakuchu’s (Jang Hyeokju) new unfulfilled objectives in his detective stories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野口赫宙(張赫宙)의 새로운 작가적 모색으로서의 추리소설에 대한 고찰

Noguchi Gakuchu’s (Jang Hyeokju) new unfulfilled objectives in his detective stories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탐정소설과 식민지적 아이덴티티 ― 김내성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

Detective Novels and a Colonial Identity focused on Kim Nae-seong's Japanese novels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translated and adapted detective novel in early modern era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張赫宙(野口赫宙)의 『망향의 살인(望郷の殺人)』론 ―재일동포사회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친일의 합리화

張赫宙(野口赫宙)の 『望郷の殺人』論 ―在日朝鮮人社会に対する作家の認識と親日の合理化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김내성의 『탐정소설가의 살인』에 대한 기호학적 서사 분석

A Semiotic Narrative Analysis on ‘A Detective Novelist’s Murder ’ by Kim Nae Sung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미완의 만보자 —도시의 시선으로「군중의 남자」읽기

The Unfulfilled Journey of a Flâneur: Reading “The Man of the Crowd” through the Eyes of the 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미완의 만보자 —도시의 시선으로「군중의 남자」읽기

The Unfulfilled Journey of a Flâneur: Reading “The Man of the Crowd” through the Eyes of the 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젠더, 범죄, (여성)탐정 —초기 영미 추리소설의 성정치학

Gender, Crime, (Woman) Detective: Sexual Politics of Early British and American Detective Fiction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젠더, 범죄, (여성)탐정 —초기 영미 추리소설의 성정치학

Gender, Crime, (Woman) Detective: Sexual Politics of Early British and American Detective Fiction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본 추리소설의 서사 구조

A narrative structure of detective fiction on education of composi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내성 번안 추리소설에 나타난 공간의식 연구: 아서 코난 도일의 원작 속 공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perception in Nae-Seong Kim's detective novel adapt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pace in respect of Arthur Conan Doyle's original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