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B141006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경찰행정

클래스 :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676

한자 : 探偵
영어 : detective

a01-06-01 인간(직업)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직업분류(군)

기타직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민간 조사원 () [ 民間調査員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사생활 침해 [ 私生活侵害 ]

hasIssue (이슈/주제)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개인정보 침해 () [ 個人情報侵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탐정 영화 () [ 探偵映畵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추리 소설 () [ 推理小說 ]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Jung-Tam Novels(偵探小說) and Their Characteristics as Detective Story

비평문학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유머 연구 ―『나는 고양이이다(吾輩は猫である)』의 문명비평을 중심으로

夏目漱石のユーモア研究 ―『吾輩は猫である』の文明批評を中心として -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유머 연구 ―『나는 고양이이다(吾輩は猫である)』의 문명비평을 중심으로

夏目漱石のユーモア研究 ―『吾輩は猫である』の文明批評を中心として -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探偵小說의 飜譯과 受容 양상 및 長篇 飜譯 探偵小說 서지연구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探偵小說의 飜譯과 受容 양상 및 長篇 飜譯 探偵小說 서지연구

The aspect of the translation of the detective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정의 시선에 대한 패러디: 카프카의 <실종자>에 나타난 근대적 시선 비판

Parodie der detektiven Perspektive: Kritik der neuyeitlichen Perspektive in von Franz Kafka

카프카 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탐정의 시선에 대한 패러디: 카프카의 <실종자>에 나타난 근대적 시선 비판

Parodie der detektiven Perspektive: Kritik der neuyeitlichen Perspektive in von Franz Kafka

카프카 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AHP 기법을 활용한 민간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Political Priority Order Decision for Introducing Private Investigator Syste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한국경찰학회보 | 14 | 3 | 2012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