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소설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75

STNet ID : 1002730

한자 : 大衆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역사 소설 () [ 歷史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협 소설 () [ 武俠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추리 소설 () [ 推理小說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장르 소설 [ --小說 ]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통속 소설 () [ 通俗小說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도식성 [ 圖式性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대중화 [ 大衆化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대중 [ 大衆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현부인 [ 賢婦人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독신녀 [ 獨身女 ]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st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하층계급 인물의 생성과 사회 구조망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The Becoming of underclass and Social Network Structure -Focusing on 『Yeong-Ja's Heydays』 by Jo Seonjak-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60년대 전쟁과 젠더 ― 전후 신세대 작가 곽학송 다시 읽기

A Study on War and Gender in the 1950s and 1960s ― Rereading Gwak Hak-song, a post-war new generation author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youth) in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승옥 각색 시나리오의 대중지향성 연구

A Study in the popularity of Filmic Adaptations by Kim Seung Ok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안수길 대중소설의 윤리 주체 변화와 감성의 윤리화-「感情色彩」(『국제신보』, 1960,2.14~9.3)를 중심으로-

Changes in Ethical Subject and Emotional Ethics of Ahn Soo‐gil’s Popular Novel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密林》과《찔레꽃》의 독자수용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An Analysing of Processing on Readers' Psychological Recognitions During reading popular fictions published 1930's in Korean peninsula -with analysing《Milleem》&《Jillegot》written by Kim Mal Bong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密林》과《찔레꽃》의 독자수용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An Analysing of Processing on Readers' Psychological Recognitions During reading popular fictions published 1930's in Korean peninsula -with analysing《Milleem》&《Jillegot》written by Kim Mal Bong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 장편소설 연구 ― 1945-1953년까지 발표된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m Mal-Bong's Novels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