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 의식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07

STNet ID : 1004845

한자 : 民衆意識
영어 : popular consciousnes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중시 [ 民衆詩 ]

창극(唱劇) <山불>에서 경험되는 시간의식과 그 의의

A Study on Temporality and Significance of the Changgeuk(唱劇) Wildfire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두만강신의 성격과 의미 연구 - 조선족 두만강전설을 대상으로 -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Dumangang Deity: Focused on the legend of Dumangang of the Chosunjok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만강신의 성격과 의미 연구 - 조선족 두만강전설을 대상으로 -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Dumangang Deity: Focused on the legend of Dumangang of the Chosunjok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다중적 상징과 민중의 권력 인식

Multiple Symbol of Tiger in Folk Tale and Power Cognizance of the People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

‘근대이행기’의 민중의식: ‘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 토지소유 및 매매관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People’s perception of things during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into the modern era’: Beyond acknowledging the conflict between ‘aspiring for Modernity’ and ‘opposing modernity’ ―Examination of the people’s perception of issues, like land ownership rights and customs of transaction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근대이행기’의 민중의식: ‘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 토지소유 및 매매관습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People’s perception of things during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into the modern era’: Beyond acknowledging the conflict between ‘aspiring for Modernity’ and ‘opposing modernity’ ―Examination of the people’s perception of issues, like land ownership rights and customs of transaction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한말 경남지방 야학운동의 전개양상과 운영주체

Development Phase and Establishment idea of the Night School(Yahak) Movement in Kyungnam Region at the end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3 | 2010 | 역사학

한말 경남지방 야학운동의 전개양상과 운영주체

Development Phase and Establishment idea of the Night School(Yahak) Movement in Kyungnam Region at the end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