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연구분야 :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59

STNet ID : 1004862

한자 : 一九五○年代
영어 : 1950s
영어 : The 1950s
영어 : 1950’s
영어 : the 1950's
동의어(UF) : 50년대(五○年代)

x02-01 시대

대상기간_t

1951-1959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10년 단위

 

년대 () [ 年代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6

x02-01 시대 시대

20세기 (1901-2000) [ 二十世紀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1950년 () [ 一九五○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1

 

1951년 () [ 一九五一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2

 

1952년 () [ 一九五二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3

 

1953년 () [ 一九五三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4

 

1954년 () [ 一九五四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5

 

1955년 () [ 一九五五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6

 

1956년 () [ 一九五六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7

 

1957년 () [ 一九五七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8

 

1958년 () [ 一九五八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9

 

1959년 () [ 一九五九年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960년대 () [ 一九六○年代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940년대 () [ 一九四○年代 ]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Translated Cold War and Revolution; Sartre, Marxism, Existentialism and Revolution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Translated Cold War and Revolution; Sartre, Marxism, Existentialism and Revolution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최호진의 경제사 연구와 저술의 사회사: 1940~60년대

Social history of Choi Ho-Chin's works on economic history : 1940~60s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문화 수용자로서 여성의 자기표현과 영화 관람

How Women Express the Self in the 1950s by Watching Movies and Consumptio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문화 수용자로서 여성의 자기표현과 영화 관람

How Women Express the Self in the 1950s by Watching Movies and Consumptio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 of Korean poems after Korean War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Employment Ratio’s Reduction during Colonial Korea’s Industrialization: Verification of Census in 1930 and 1940 with Comparing to 1950s

경제사학 | 49 | 2010 | 경제학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Employment Ratio’s Reduction during Colonial Korea’s Industrialization: Verification of Census in 1930 and 1940 with Comparing to 1950s

경제사학 | 49 | | 2010 | 경제학

식민지시기부터 1950년대까지 모리스 르블랑 번역의 역사

The History of Korean translation of Morris Leblanc Seri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50's

국어국문학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부터 1950년대까지 모리스 르블랑 번역의 역사

The History of Korean translation of Morris Leblanc Seri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50's

국어국문학 |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Employment Ratio’s Reduction during Colonial Korea’s Industrialization: Verification of Census in 1930 and 1940 with Comparing to 1950s

경제사학 | 49 | 2010 | 경제학

식민지 공업화와 유업률 감소 ―1930・1940년 국세조사의 검증과 해방 후와의 비교―

Employment Ratio’s Reduction during Colonial Korea’s Industrialization: Verification of Census in 1930 and 1940 with Comparing to 1950s

경제사학 | 49 | | 2010 | 경제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The Poetry of Suh, Jung-ju during the 1950s and Shilla Spirit — an essay for research of "Shillacho"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The Poetry of Suh, Jung-ju during the 1950s and Shilla Spirit — an essay for research of "Shillacho"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하드셀 광고소구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고찰- 1840년대-1950년대 미국 광고를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ard sell Advertising Appeal- Focused on 1840s–1950s American Advertising -

정보디자인학연구 | 15 | 1 | 2012 | 정보디자인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쟁의 시대, 생존의지의 문학적 체현 -염상섭의 <취우>, <미망인> 연구-

The Times of War and Literary Embodiment of the Will to Live -Study on Yeom Sang-Seop's ,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규모 면방직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ian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in 1950’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1950년대 대규모 면방직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ian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in 1950’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하드셀 광고소구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고찰- 1840년대-1950년대 미국 광고를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ard sell Advertising Appeal- Focused on 1840s–1950s American Advertising -

정보디자인학연구 | 15 | 1 | 2012 | 정보디자인

1950년대 대규모 면방직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ian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in 1950’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1950년대 대규모 면방직공장의 기술인력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ian of Large Scale Cotton Textile Factory in 1950’s

경영사연구 | 25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umanistic refinement and Cultural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in 1950s -Focusing on The Yeonhi Chunchu/The Yonsei Chunchu during 1953~1960-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1950년대 지방선거결과에 나타난 한국유교사상의 영향 -미군정기부터 5·16혁명까지의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1950年代の地方選擧の結果に見られる 韓國儒敎思想の影響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1950년대 지방선거결과에 나타난 한국유교사상의 영향 -미군정기부터 5·16혁명까지의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1950年代の地方選擧の結果に見られる 韓國儒敎思想の影響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평생교육학연구 | 17 | 4 | 2011 | 교육학

조향 시의 초현실주의 상상력과 전복적 사유

Poet Jo Hyang's The Imagination of Surrealism and Upsetting Thinking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향 시의 초현실주의 상상력과 전복적 사유

Poet Jo Hyang's The Imagination of Surrealism and Upsetting Thinking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과 수치심의 관계 고찰 - 잡지 「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nlightenment which is shown on the women's magazine writing in the 1950' - with 「yeowon」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평생교육학연구 | 17 | 4 | 2011 | 교육학

박재삼 시의 전통 구성방식 연구 - 『춘향이 마음』을 중심으로 -

Park jae-sam's poetry traditional reappearance method research - Focused on 『Chunhyangyi Ma-eum』 -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OH HWA-SUP AND YOH SUK-KEE, THE ORIGIN OF KOREAN MODERN THEATER CRITICISM-FOCUSED ON 1950․1960S CRITICISM IN NEWSPAPER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라디오 드라마의 展開樣相 -解放期부터 1950年代를 中心으로-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Radio Drama -from the period of Liberation to the 1950'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라디오 드라마의 展開樣相 -解放期부터 1950年代를 中心으로-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Radio Drama -from the period of Liberation to the 1950'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소년잡지에 나타난 문학 창작교육과 의의 -'새벗'과 '소년세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Creation in the 1950’s - Focused on the magazines of “Saebeot” and “SoNeon Saege” -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재삼 시의 전통 구성방식 연구 - 『춘향이 마음』을 중심으로 -

Park jae-sam's poetry traditional reappearance method research - Focused on 『Chunhyangyi Ma-eum』 -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향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 in Poems of Poet Cho Hyang -centering on 『Collection of Problematic Poems After Korean War』

어문론집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라디오 드라마의 展開樣相 -解放期부터 1950年代를 中心으로-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Radio Drama -from the period of Liberation to the 1950'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라디오 드라마의 展開樣相 -解放期부터 1950年代를 中心으로-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Radio Drama -from the period of Liberation to the 1950'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소년잡지에 나타난 문학 창작교육과 의의 -'새벗'과 '소년세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Creation in the 1950’s - Focused on the magazines of “Saebeot” and “SoNeon Saege” -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언급할 것인가 감출 것인가?": 〈뜨거운 양철지붕위의 고양이〉와 〈길고, 뜨거운 여름〉에 드러난 욕망의 정치학

"'To Speak or Not To Speak?': The Politics of Desire in The Long, Hot Summer and Cat on a Hot Tin Roof."

현대영미어문학 | 29 | 4 | 2011 | 영어와문학

강신재 초기 소설에 나타난 ‘양공주’의 형상화 연구 -<관용>, <해결책>, <해방촌 가는 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iguration of the ‘YangKongju’ in Kang Sin-Jae’s Early Novels -Focusing on The Tolerance, Solution, The way to Haebang-cho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강신재 초기 소설에 나타난 ‘양공주’의 형상화 연구 -<관용>, <해결책>, <해방촌 가는 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Figuration of the ‘YangKongju’ in Kang Sin-Jae’s Early Novels -Focusing on The Tolerance, Solution, The way to Haebang-cho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조향 시의 새로운 양식적 실험, ‘영화시’

Ciné-Poéme, The New Attempt of 1950's Cho Hyang's Poetry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좌담회 <근대의 초극>론의 서막* -1950년대의 담론공간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근대의 초극」-

<近代の超克>論の序幕 -1950年代における言説空間と竹内好「近代の超克」-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김규동의 시세계 연구

A Study on the Kim, Gyu-Dong's Poetry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period's poetry and the film

국어국문학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규동의 시세계 연구

A Study on the Kim, Gyu-Dong's Poetry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arly period's poetry and the film

국어국문학 |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좌담회 <근대의 초극>론의 서막* -1950년대의 담론공간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근대의 초극」-

<近代の超克>論の序幕 -1950年代における言説空間と竹内好「近代の超克」-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Time in Park, In-hwan's Poems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효선 동요 동시 연구

A study on the children’s song and children’s poem of Eo Hyoseon, the grandfather who is planting a seeds of the song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8 | 2011 | 아동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박인환 시에서의 우울과 시간의식

The Emo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Time in Park, In-hwan's Poems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2차 시조부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1950년대 미국문명의 인식과 교양여성 담론 - 여성독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Cognizance of American civilization in 1950’s and Discussion of Woman's Bildung

여성문학연구 | 27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잡지 『아리랑』과 명랑소설의 ‘명랑성’ :가족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gazine 'Arirang' and the Brightness in the Humor Novels during the 1950"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화극 창작의 딜레마와 제4종 극본 ― 「同甘共苦」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1950년대 화극 창작의 딜레마와 제4종 극본 ― 「同甘共苦」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의 기록영화와 미국의 이미지 구축

Documentary Films of the USIS Korea in the 1950s for Constructing American Images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A study on Feminity in Kang Shinjae's Novel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Ambivalence about American Valu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1950s -Focusing on Han Hyung-mo’s Woman’s Film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Ambivalence about American Valu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1950s -Focusing on Han Hyung-mo’s Woman’s Film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후 세대의 이상론 고찰

Study of the Lee Sang-ism of post-war generation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경리 초기소설의 여성가장 연구 - 전쟁미망인 담론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arly works of Park, Kyongni focus on woman breadwinner - Discourse on a war widow-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통서정파의 ‘지성’론과 현대성 성격

"Noetics" and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Lyricists in the 1950'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인식 - 1950년대 농촌담론을 중심으로 -

The rural recognition in Sasangge- Centering around the rural discourse in the 195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실존주의 지성론과 시적 사고의 보수성

Noetics of Existentialism and Conservatism of Poetic Thinking in the 195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미국문명의 인식과 교양여성 담론 - 여성독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Cognizance of American civilization in 1950’s and Discussion of Woman's Bildung

여성문학연구 | 27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강신재 소설의 여성 정체성 연구

A study on Feminity in Kang Shinjae's Novel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 세대의 이상론 고찰

Study of the Lee Sang-ism of post-war generation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회’의 문학․반행동주의․아카데미즘: 1950년대 『사상계』의 문학성 인식과 최재서의 전략

Literature of ‘Society’․Anti-Activism․Ancademism : Awareness of Literary Value in Sasanggye in the 1950’s and Jae-Seo Choi’s Strategy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 정치―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The Era of 'Translation', Culture and Politics of Translation: The Translation Policy and Translation Literature Field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 정치―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The Era of 'Translation', Culture and Politics of Translation: The Translation Policy and Translation Literature Field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의 기록영화와 미국의 이미지 구축

Documentary Films of the USIS Korea in the 1950s for Constructing American Images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in the 1950s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Positions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in the 1950s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Positions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실존주의 지성론과 시적 사고의 보수성

Noetics of Existentialism and Conservatism of Poetic Thinking in the 195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잡지 『아리랑』과 명랑소설의 ‘명랑성’ :가족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gazine 'Arirang' and the Brightness in the Humor Novels during the 1950"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인식 - 1950년대 농촌담론을 중심으로 -

The rural recognition in Sasangge- Centering around the rural discourse in the 195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북한 농업협동화 제재 소설의 갈등 양상의 허와 실 -천세봉의 장편소설 <석개울의 새봄>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conflicts in DPRK’s agricultural cooperative movement novels -based on Cheon Sebong’s A New spring in Suckgaeul-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농업협동화 제재 소설의 갈등 양상의 허와 실 -천세봉의 장편소설 <석개울의 새봄>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conflicts in DPRK’s agricultural cooperative movement novels -based on Cheon Sebong’s A New spring in Suckgaeul-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Ambivalence about American Valu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1950s -Focusing on Han Hyung-mo’s Woman’s Film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미국적 가치’에 대한 양가성 -한형모 프로덕션의 영화를 중심으로-

Ambivalence about American Valu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1950s -Focusing on Han Hyung-mo’s Woman’s Film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김유정론 연구

A Study on the Criticism of Kim You-jeong's Novel in the 1950s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대중성의 확대와 변형 - 1950년대 박계주의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 정치―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The Era of 'Translation', Culture and Politics of Translation: The Translation Policy and Translation Literature Field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 정치―1950년대 번역 정책과 번역문학장

The Era of 'Translation', Culture and Politics of Translation: The Translation Policy and Translation Literature Field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박경리 초기소설의 여성가장 연구 - 전쟁미망인 담론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arly works of Park, Kyongni focus on woman breadwinner - Discourse on a war widow-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세계주의와 현대성 연구 - 강력한 주체성과 봉쇄된 개성 -

The 1950's Cosmopolitanism and Modernity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세계주의와 현대성 연구 - 강력한 주체성과 봉쇄된 개성 -

The 1950's Cosmopolitanism and Modernity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in the 1950s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Positions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번역가의 의식과 문화정치적 위치

Consciousness of Translators in the 1950s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Positions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의 문학․반행동주의․아카데미즘: 1950년대 『사상계』의 문학성 인식과 최재서의 전략

Literature of ‘Society’․Anti-Activism․Ancademism : Awareness of Literary Value in Sasanggye in the 1950’s and Jae-Seo Choi’s Strategy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