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연구분야 :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933

STNet ID : 1001614

한자 : 一九四○年代
영어 : 1940s

x02-01 시대

대상기간_t

1940-1949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10년 단위

 

년대 () [ 年代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5

x02-01 시대 시대

20세기 (1901-2000) [ 二十世紀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1940년 () [ 一九四○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1

 

1941년 () [ 一九四一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2

 

1942년 () [ 一九四二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3

 

1943년 () [ 一九四三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4

 

1944년 () [ 一九四四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5

 

1945년 () [ 一九四五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6

 

1946년 () [ 一九四六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7

 

1947년 () [ 一九四七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8

 

1948년 () [ 一九四八年 ]

hasComponent (구성요소)

9

 

1949년 () [ 一九四九年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950년대 () [ 一九五○年代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1930년대 () [ 一九三○年代 ]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Allegory of The Beautiful Daw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Allegory of The Beautiful Daw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조광』에 대한 서지적 고찰 : 종간·복간·중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A Bibliographic Study on Jogwang : Focusing on cessation of publication, revived publication and reprinting a edition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광』에 대한 서지적 고찰 : 종간·복간·중간의 문제를 중심으로

A Bibliographic Study on Jogwang : Focusing on cessation of publication, revived publication and reprinting a edition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나의 젊은 조국 -1940년대 한설야의 ‘부권의식’과 ‘청년/지도자 서사’-

My Young Fatherland -Han Seol-ya’s ‘Paternity Consciousness’ and ‘Youth/Leader Narrative’ in the 1940s-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