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어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69

STNet ID : 1004871

한자 : 擬聲語
영어 : onomatopoeia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6 기호/신호 기호/신호

음성 상징 () [ 音聲象徵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상징어 [ 象徵語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태어 () [ 擬態語 ]

RT (관련어)

 

 

자음교체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모음 조화 () [ 母音調和 ]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투 문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Current Research and its Prospect on Translationese Problems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번역투 문제 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Current Research and its Prospect on Translationese Problems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개구리네 한솥밥」의 구조와 교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extbook Conversion Method and Structure of 「Frog’s One Pot Rice」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개구리네 한솥밥」의 구조와 교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extbook Conversion Method and Structure of 「Frog’s One Pot Rice」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시의 청각적 요소와 리듬의 상관성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uditory senses and rhythm in Baek–seok's poem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감탄사와 부사의 경계에 대하여

A Study on the Boundary between Interjections and Adverbs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감탄사와 부사의 경계에 대하여

A Study on the Boundary between Interjections and Adverbs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

동시 텍스트의 흉내말 사용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Onomatopoeic Words in the Children’s Verse

한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 장르속의 의태어 번역 양상 -소설 대장금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imetic words in the Novel Daejanggeum

중국과 중국학 | 11 | 2010 | 지역학일반

문학 장르속의 의태어 번역 양상 -소설 대장금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Mimetic words in the Novel Daejanggeum

중국과 중국학 | 11 | | 2010 | 지역학일반

한국 아동의 의성어와 의태어 사용

The Use of Onomatopoeic Language in Korean Children-Caregiver Interactions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25 | 1 | 2012 | 심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