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당전쟁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2030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1(위진수당)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85

STNet ID : 1004886

한자 : 羅唐戰爭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전쟁 () [ 戰爭 ]

R1:개념적

hasAgent ((행위)주체자)

 

x02-01 시대 시대

당 시대 (618-907) [ 唐時代 ]

RT (관련어)

 

 

계림대도독부

RT (관련어)

 

 

안승(安勝)

RT (관련어)

 

 

안동도호부

RT (관련어)

 

 

웅진도독부 [ 熊津都督府 ]

통일신라 출범기의 봉성사와 망덕사 창건목적

The Purposes of Building Bong-Seong-Sa and Mang-Deok-Sa at the Launch of Unified Silla

신라문화 | 37 | 2011 | 역사학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나당전쟁 서술과 개선 방향

The Description Realities and Improving Direction in the Silla-Tang War of History Textbook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羅唐戰爭의 종전배경과 新羅의 역할

Circumstances and Silla's Role that Led to the Conclusion of the Silla-Tang War

동북아역사논총 | 32 | 2011 | 역사학

羅唐戰爭期 文豆婁 秘法과 海戰

The Mundra Secret Magic and naval battle During Na-Dang War

신라문화 | 37 | 2011 | 역사학

羅唐戰爭의 開戰과 薛烏儒 部隊

The beginning of the Na-Tang War(羅唐戰爭) and Seol oh-yu(薛烏儒) troops

역사교육논집 | 45 | 2010 | 역사학

羅唐戰爭의 開戰과 薛烏儒 部隊

The beginning of the Na-Tang War(羅唐戰爭) and Seol oh-yu(薛烏儒) troops

역사교육논집 | | 4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