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린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상호작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95

STNet ID : 1004896

한자 : 交隣

x03-06 상호작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대 [ 事大 ]

RT (관련어)

 

 

사대교린 [ 事大交隣 ]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조선전기 5진 藩胡 동향의 추이

Beonho(藩胡) Chieftains under the Five Garrisons during early Joseon

역사와 실학 | 46 | 2011 | 기타역사일반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전기 통신사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ongshinsa in the Early Chosun Period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통신사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ongshinsa in the Early Chosun Period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제4장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yori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4장 조선 전기 對日 交隣體制 -일본 사신 접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yori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민족사상 | 4 | 1 | 2010 | 한국정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