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천태의 호흡법과 질병치료
Breathing and Healing of T'ien-tai(天台)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통해서 본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
일감법학 |
17 |
2010 |
기타법학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통해서 본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
일감법학 |
|
17 |
2010 |
기타법학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vestiture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vestiture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통역의 역사 개관 - 고려시대까지
An Overview of the Korean Interpreting History I (until the Goryeo Dynasty)
통번역학연구 |
16 |
1 |
2012 |
통역번역학
佛敎와 四象醫學의 ‘醫’개념 -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病因論을 중심으로-
On the Concept of ‘Medicine’ in Buddhism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cusing on the Theories of Etiology Appearing in Tiantai’s Writings on the Samatha-Vipassana and Lee Jema’s Dongui suse bowon (東醫壽世保元)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 · 외교적 성격
A Political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the War against Qidan(契丹)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74 |
2010 |
역사학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 · 외교적 성격
A Political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the War against Qidan(契丹)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
74 |
2010 |
역사학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시기의 사대와 독립의 의미
The meaning of 'sadae(事大)' and 'independence' in the era of 1884 Coup and Kabo Reform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시기의 사대와 독립의 의미
The meaning of 'sadae(事大)' and 'independence' in the era of 1884 Coup and Kabo Reform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사대요소설과 명상수행, 그리고 수행의 효과 : MN. No. 62 Mahārāhulovādasutta를 중심으로
The Theory of the Four Great Elements Concerning Meditation and the Effects of Practice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한청통상조약 연구
A Study on the Treaty of Commer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1899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