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오류 분석
Analysis of the Usage Errors of Korean Vocabulary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오류 분석
Analysis of the Usage Errors of Korean Vocabulary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전 메타 용어 선정을 위한 연구-‘꼴’, ‘따위’의 의미를 중심으로-
Study for selecting meta words in dictionaries-focus on the meaning of ‘kkol’ and ‘ttawi’-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의어(類義語)의 경계 탐색 -채소류 및 곡류, 과일류의 구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oundary of Synonym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의어(類義語)의 경계 탐색 -채소류 및 곡류, 과일류의 구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oundary of Synonym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 발화 동사 говорить 의미 연구
The semantic structure of speech act verb govorit’ in Russian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발화 동사 говорить 의미 연구
The semantic structure of speech act verb govorit’ in Russian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현대중국어 ‘去’와 ‘走’의 비교 분석 -- ‘가다’의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Qu' and 'Zou' of Modern Chinese
중국학 |
35 |
2010 |
기타중문학
현대중국어 ‘去’와 ‘走’의 비교 분석 -- ‘가다’의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Qu' and 'Zou' of Modern Chinese
중국학 |
|
35 |
2010 |
기타중문학
한국 대학생의 영어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형용사 유의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
62 |
2010 |
영어와문학
한국 대학생의 영어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형용사 유의어를 중심으로
현대문법연구 |
|
62 |
2010 |
영어와문학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어휘 자원과 언어 교육에의 응용
The Korean Language Resource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어휘 자원과 언어 교육에의 응용
The Korean Language Resource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QUELQUES PISTES DIDACTIQUES POUR L'ENSEIGNEMENT DU LEXIQUE EN FLE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FLE) ‘어휘’ 교육 방법에 대한 小考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QUELQUES PISTES DIDACTIQUES POUR L'ENSEIGNEMENT DU LEXIQUE EN FLE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FLE) ‘어휘’ 교육 방법에 대한 小考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日韓語の「並列」複合動詞について -その成立条件を中心に-
일한어 '병렬' 복합동사에 대하여 -그 성립조건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31 |
2011 |
일본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형용사의 제시 방안 - ‘아쉽다’, ‘안타깝다’, ‘아깝다’, ‘섭섭하다’, ‘서운하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tting up the Educational Informations of Synonyms of Emotional Adjective ‘Aswibd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감정형용사의 제시 방안 - ‘아쉽다’, ‘안타깝다’, ‘아깝다’, ‘섭섭하다’, ‘서운하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tting up the Educational Informations of Synonyms of Emotional Adjective ‘Aswibd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 근세국어 ‘멎/벚/봋’의 혼란상과 의미
A Confusing and Meaning of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멎/벚/봋’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The meaning-teaching method for adjectives like 'ahrumdapda,' 'yepuda,' 'gopd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er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The meaning-teaching method for adjectives like 'ahrumdapda,' 'yepuda,' 'gopd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er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언어사용역을 활용한 ‘죽다’류 유의어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Synonym of ‘jukda(die)' Using the Register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관련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의어 분석* - ‘책, 서적, 도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ynonyms using related word network: ‘chaek’, ‘seojeok’ and ‘doseo'
한국어 의미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어 ‘사과’의 통시적 혼란상과 정착과정
Diachronic Confusing Meaning and Settlement Process of the Present Korean ‘사과(apple)’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思う」와 「考える」에 대한 일본어학습자의 이해도
The Understandings of Using 「Omou(思う)/Kangaeru(考える)」 of Japanese Leaners
일본어문학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思う」와 「考える」에 대한 일본어학습자의 이해도
The Understandings of Using 「Omou(思う)/Kangaeru(考える)」 of Japanese Leaners
일본어문학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A Study on the Lexical Information of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for Korean Learners.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A Study on the Lexical Information of Modality Adverbs ‘ama’ and ‘hoksi’ for Korean Learners.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습자 사전에서의 유의어 선정과 기술 방법에 대한 연구-연세 현대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A Study for discrimination and description method for Synonym in Korean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습자 사전에서의 유의어 선정과 기술 방법에 대한 연구-연세 현대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A Study for discrimination and description method for Synonym in Korean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의어 사전에서의 화용적 정보 기술 방안
The Methods of Describing Pragmatic Information in Synonym Diction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사전학 |
16 |
2010 |
사전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의어 사전에서의 화용적 정보 기술 방안
The Methods of Describing Pragmatic Information in Synonym Dictionar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사전학 |
|
16 |
2010 |
사전학
이동 동사 ‘進·出·就’의 의미범주 연구
A Study on the Semantic Category Between ‘進’, ‘出’ and ‘就’ of the Movement Verb in the Samkuksaki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大事」「大切」「重要」の意味特徴の重なりとずれについて -「소중」「중요」との対照を通して-
「大事」「大切」「重要」의 의미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소중」「중요」와의 대조를 통하여-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韓国人学習者が間違えやすい類義語について -「感心」と「感嘆」を中心に-
한국인학습자가 틀리기 쉬운 유의어에 대하여 -「感心」과「感嘆」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準備、用意、支度の使い分けに関する研究
A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zoonbi" youi"and"sitaku"
일본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準備、用意、支度の使い分けに関する研究
A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zoonbi" youi"and"sitaku"
일본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