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응 양상

연구분야 : A091500 인문학 > 언어학 > 역사/비교언어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934

한자 : 對應樣相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양상 [ 樣相 ]

R1:개념적

RT (관련어)

 

 

문학 형식 [ 文學形式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의미 분석 [ 意味分析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유의어 () [ 類義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반의어 [ 反義語 ]

한일 내부공간명사「안, 속」과「うち, なか」의 의미영역

韓日内部空間名詞「안, 속」と「うち,なか」の意味領域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九雲夢』과 『金剛經』의 대응양상 (속Ⅳ)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九雲夢』 and 『金剛經』-(The part IV)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고소설 「보심록」 계열의 형성과정과 그 사적 의미

The formation process and historic meaning of series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고소설 「보심록」 계열의 형성과정과 그 사적 의미

The formation process and historic meaning of series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