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문법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기준/규칙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80

STNet ID : 1004938

한자 : 學校文法
영어 : school grammar

e02-03 기준/규칙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규범문법 [ 規範文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표준어 교육 [ 標準語敎育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교육문법 [ 敎育文法 ]

RT (관련어)

대립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기술 문법 [ 記述文法 ]

프랑스어 문법의 역사 : 지식의 대중화의 역사

Histoire de la grammaire du français : histoire de la vulgarisation du savoir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국어 품사론의 교육적 접근

Educational Approach of Parts of Speech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일본어 동사활용형에 관한 재고 -학교문법과 일본어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日本語の動詞活用形に関する再考

일본어교육연구 | 20 | 2011 | 일본어교육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descriptions of "phonological rule" in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High School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Korean Grammar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Retrospect and prospect of Studies in Korean Grammar Teaching Method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찌아찌아어 양분접사 교육의 중요성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2 | 2011 | 언어학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contents of othography, dictionary, and grammar.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contents of othography, dictionary, and grammar.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품사론 연구의 전개와 전망

A Process and Development of Studi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품사론 연구의 전개와 전망

A Process and Development of Studi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문과 학교문법서의 서술 방향 모색 -2007 개정교육과정 중고등학교 해설서(한문)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A Grope for the Direction of a Future School Grammar Text i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Focusing on Education Example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의 현실과 지향

The Present State and Direction of Grammar Education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역대 학교 문법의 연결 어미와 부사형 어미- 이어진 문장, 부사절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Connective endings and adverbial endings in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대 학교 문법의 연결 어미와 부사형 어미- 이어진 문장, 부사절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Connective endings and adverbial endings in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A Decision Making Process and Related Problems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Parts of speech and Terms in School Grammar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A Decision Making Process and Related Problems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Parts of speech and Terms in School Grammar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Some problems in instituting Constituent of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Some problems in instituting Constituent of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행 학교 문법에 나타난 두 가지 모순점 - ‘자릿수’ 설정과 관련하여 -

Two contradictory facts in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valency’ -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행 학교 문법에 나타난 두 가지 모순점 - ‘자릿수’ 설정과 관련하여 -

Two contradictory facts in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valency’ -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Characters and content systems of SG and KGF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Characters and content systems of SG and KGF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문법에서의 용언 설명에 대한 양상 연구

The Aspect of Verb Explanation in Korean Education Grammar as a Foreign Language

한글 | 29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