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82

한자 :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공간 기호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1 감정 감정

장소감 () [ 場所感 ]

신경림의 『농무』에 나타난 장소 연구

A Study on the Places in 『Agricultural Affairs』 of SHIN Gyeongrim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자폐적인 내적 공간에 유폐된 자아-이승우의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를 중심으로

Confined ego in autistic inner space -focusing on Lee Seungwoo’s 「I will live very l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쥘 쉬페르비엘의 작품 속에 나타난 우주적 휴머니즘 - 『중력들 Gravitations』을 중심으로 -

L'humanisme cosmique chez Jules Supervielle - à travers Gravitations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1동 28번지, 차숙이네>의 사물연극으로서의 전략과 실험성

A Study on Strategies as Object Theater and Experimentation of <1Dong 28Bunji, Chasuk's>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캐릴 처칠의 『클라우드 나인』과 『비네거 톰』에 사용된 장소의 중요성

ignificance of Place in Caryl Churchill’s Cloud Nine and Vinegar Tom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박완서 문학의 여성성 -‘집’과 ‘밥’의 기억을 통한 여성들 간의 소통-

Politics of 'Jib' and 'Bab'- Park Wan-Seo's novel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자본주의 공간의 병리성 연구 ―1970년대 중단편을 중심으로

Pathology of Capitalist Space expressed in the Novels by Heung-gil, Yun ―On the basis of novelettes of 1970s by Heung-gil, Yu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The Politics of Be(long)ing Home: Sandra Cisneros’s The House on Mango Street and Loida Maritza Pérez’s Geographies of Home

현대영미소설 | 18 | 1 | 2011 | 영어와문학

존재와 공간의 시학 - Henri Bosco의 ‘히야신스’(Hyacinthe)를 중심으로 -

Une étude sur la quête du moi et la dimension poétique autour de Hyacinthe, récit de Henri Bosco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김광섭 초기시의 낭만적 특성 연구 - 환상과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omanticism in Early Poems of Kim, Gwang Sub (김광섭): Focusing on Fantasy and Utopia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광섭 초기시의 낭만적 특성 연구 - 환상과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omanticism in Early Poems of Kim, Gwang Sub (김광섭): Focusing on Fantasy and Utopia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년 세대, ‘집’의 의미를 묻다 : 고시원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 45 | 2 | 2011 | 사회학

메어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마리아』에 나타난 공감의 정치적 함의와 그 한계

근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메어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마리아』에 나타난 공감의 정치적 함의와 그 한계

근대영미소설 | 17 | 3 | 2010 | 영어와문학

모녀 서사를 통해 본 ‘치매’의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of Dementia in the Narrative of Mother and Daughter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과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as Haus als das Mitte des Lebens und seine philosophische Bedeutung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과 그 철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as Haus als das Mitte des Lebens und seine philosophische Bedeutung

윤리연구 | 1 | 77 | 2010 | 학제간연구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 의 상상력

An imagination of a hous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양상 고찰 -1990년 이후 작품 중심으로-

Discussion in the ‘house’ meant to give modern society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통 주거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과 그 교육적 의미 -텃제, 집짓기 재료의 선택과 가공을 중심으로-

The Korean view of nature reflected in traditional housing, and its educational meaning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작은 집 이야기』에 나타난 집의 생태학적 의미

Ecological Meaning of House Shown in 『The Little House』

생태유아교육연구 | 10 | 4 | 2011 |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