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의 ‘장소애’와 미적 토속성의 계보 ― 소월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Baek Seok's ‘Topo–philia' and Genealogy of Aesthetic folkway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1980년대 신경림 시의 장소
The Place in Shin, kyeong-rim's Poetry of 1980's read by Literacy Geography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내러티브를 활용한 지리 수업의 가치 탐색
Values of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Utilizing Narrativ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9 |
2 |
2011 |
지리학
장소와 무장소: 「19호실로」와 '어둠이 오기 전의 여름'에서의 방의 서사
Place and Non-Place: Narrative of a Room in “To Room Nineteen” and The Summer before the Dark
현대영미소설 |
19 |
1 |
2012 |
영어와문학
현대 영화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장소감 연구 —<콘스탄틴>와 <러블리 본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of Afterlife: Focused on Constantine and The Lovely Bones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 - <극장전>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
The Spatial Sense of ‘Seoul’ Represented in Sangsoo Hong’s Films - Focused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The space and the place o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광섭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이미지와 생태적 상상력
Place Imagery and ecological-imagination of Kim, Kwang-seob’s later poem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산업시설에 투영된 무장소성: 당인리 발전소를 둘러싼 갈등의 이해
Placelessness Reflected in a Modern Industrial Facility: Rethinking the Conflicts over Dangin-ri Power Plant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한국 근·현대 구상회화에 나타난 재현경관의 탐색 I: 서울의 공간 표상을 중심으로
Reading Landscapes Represented in Korean Contemporary Figurative Paintings I: Spatial Portrayals of Seoul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4 |
3 |
2011 |
지리학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 - 포항 ‘연오랑세오녀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Theme Park Project Applying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 Focusing on “Yeon-oh-rang Se-oh-nyeo Theme Park”-
인문콘텐츠 |
17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 - 포항 ‘연오랑세오녀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Theme Park Project Applying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 Focusing on “Yeon-oh-rang Se-oh-nyeo Theme Park”-
인문콘텐츠 |
|
17 |
2010 |
기타인문학
「밀다원 시대」에 나타난 ‘부산’과 ‘밀다원’의 장소감
The Sense of Place of 'Busan' and 'Mildawon' Represented in 「Mildawon Sida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지속가능한 사회과 목표 설정: 생태적 다중시민성
Goals Setting towards Sustainable Social Studies: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사회과교육 |
51 |
1 |
2012 |
교육학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장소기반 미술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lace-Based Art Class
조형교육 |
43 |
2012 |
미술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