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학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83

STNet ID : 1004940

한자 : 朝鮮學

d01-03 분과학문

주창자

국학파

대상주제

실학 (實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양명학연론 [ 陽明學縯論 ]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A Study of Performance History of Dongrae Mask Dance Dram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45 and its Cultural Politic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1930·40년대 ‘동경삼재(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일제 협력과 저항

Three Korean geniuses' activities in 1930~1940s between resistance and collaboration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조선불교 인식

Ch’oe Nam-son's Understanding on Civilization, Culture and Korean Buddhism during 1910s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background of Wi-dang(爲堂) Jeong-Inbo (鄭寅普)' Choseon-hak(朝鮮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중반 ‘燕巖’에 대한 탐구와 조선학의 지평 - ‘연암’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2) -

Research on “Yeon-am” in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Prospect of Joseon Studies - Formation and Its Origin of Classic Called “Yeon-am”(2)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한국학의 기원으로서 조선서학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Chosun's Western Learning as the origin of Korean Studies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1920~30년대 문일평의 민족사와 문화사의 서술

Mun Il-pung's writing on Korean national and cultual history during 1920-1930s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문일평의 민족사와 문화사의 서술

Mun Il-pung's writing on Korean national and cultual history during 1920-1930s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비판적 한국학의 탐색 - 한국학과 사회인문학의 대화 -

A Research for Critical Korean Studies - Dialogue between Korean Studies and Social Humanities -

역사와 실학 | 44 | 2011 | 기타역사일반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백남운의 보편사관과 조선학- 문화사적 맥락의 역설을 중심으로

Baek Nam Hun's Universal Conception of History and ChosunHak-focused on paradox in Cultural History Context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백남운의 보편사관과 조선학- 문화사적 맥락의 역설을 중심으로

Baek Nam Hun's Universal Conception of History and ChosunHak-focused on paradox in Cultural History Context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