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세대

연구분야 : B081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계층/계급

클래스 : 인간(세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85

STNet ID : 1004942

한자 : 戰後世代
영어 : postwar generation

a01-04-05 인간(세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세대 () [ 世帶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아프레게르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쟁 문학 [ 戰爭文學 ]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5 인간(세대) 인간(세대)

뉴실버 세대 () [ --世代 ]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Hierarchy of Languages and Rupture of Grammar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 세대의 이상론 고찰

Study of the Lee Sang-ism of post-war generation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The Superimposed Meaning of ‘postwar’ and Literary Identity of Kim soo-Young —Focused on the Discourse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1950s and the Poetry of Kim soo-young—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베트남전의 기억과 그 기억에의 저항: 바비 앤 메이슨의 『베트남에서(In Country)』 연구

Memory of the Vietnam War and Its Resistance: A study of In Country by Bobbie Ann Maso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한국전쟁의 체험과 전후문학의 동시적 질서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Simultane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의 체험과 전후문학의 동시적 질서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Simultane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