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변화

연구분야 : A090600 인문학 > 언어학 > 의미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96

STNet ID : 1004948

한자 : 意味變化
영어 : semantic change
영어 : meaning change
기타 : 意味変化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어의 변화 () [ 語義變化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허화 [ 虛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어 () [ 單語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용적 표현 [ 寬容的表現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어형성 [ 語形成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태변화 [ 形態變化 ]

새로 발굴한 방언(9)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9)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Sino-Korean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방평론(東方評論)』 소재 이태준의 「봄」 연구

A Study on “Spring” by Lee Tae-jun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겨드랑이’의 어휘사

A Historical Study on the Words with the Meaning of gyeodeurangi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

반말체 어미 '-게'의 문법화와 의미 변화

Grammaticalization and meaning change of Panmal style ending -ge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2) -형용사, 동사를 중심으로-

On the Meaning Change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Centering on ‘Adjective’ and ‘Verb’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副詞「なんとして」について

부사「なんとして」에 대해서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副詞「なんとして」について

부사「なんとして」에 대해서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신어의 정착 연구 - 1920~1930년대 대중 잡지에 소개된 신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Stabilization of Korean New Words which is used from 1920s to 1930s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Pragmatic Marker you know in Social Interaction and Language Teaching

화자간 상호작용과 언어교육에 있어서의 영어 담화 표지 you know의 역할

외국어교육연구 | 26 | 2 | 2012 | 외국어교육학

‘훤하다’와 ‘시원하다’의 의미 상관성에 관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Semantic Relations of ‘hwonhada’ and ‘siwonhada’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곶[串]’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

About the word formation and meaning of ‘곶’ interrelated words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동사 '놓-'의 의미 변화 양상 분석

The Corpus Based Study of Meaning Changes - The Case of Korean Verb ‘not(놓)-’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X+같다’ 형용사의 논항구조와 의미

The Argument Structure and Meaning of X+katta Adjective

언어와 정보 사회 | 17 | 2012 | 기타언어학

근대계몽기 두뇌의 의미 변화 연구

The Study of Changing Meaning of Brain in Modern Times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사회과 주요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번역어 '경제'를 중심으로

Historical Research of Core Concept in Social Studies - focused on `Kyeong-Je' as a translated word of `economy'

시민교육연구 | 44 | 2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