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연구분야 : A1101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형태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73

한자 : 單語
영어 : word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등재소 [ 登載素 ]

isKindOf (상위 유형)

 

 

문법 단위 () [ 文法單位 ]

N1:종류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주제어 () [ 主題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일어 () [ 單一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다의어 () [ 多義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혼성어 () [ 混成語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조어법 [ 造語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서울언어학습검사 () [ --言語學習檢査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미 변화 () [ 意味變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태론 () [ 形態論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단어 인지 () [ 單語認知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단어 이해 [ 單語理解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단어 인식 () [ 單語認識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사전 () [ 辭典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원 () [ 語原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용어 [ 用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법 [ 派生法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소칭 () [ 指小稱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소형 [ 指小形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어형성 [ 語形成 ]

RT (관련어)

한자어/한글명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낱말 [word]

RT (관련어)

 

 

의미 확대 () [ 意味擴大 ]

RT (관련어)

 

 

의미 축소 () [ 意味縮小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품사 () [ 品詞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계적 의미 [ 關係的意味 ]

중학교 『생활 국어』의 내용 구성에 대하여 -문법 교육과 띄어쓰기 교육의 통합적 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Organiz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integration of teaching-learning spacing and grammar-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중학교 『생활 국어』의 내용 구성에 대하여 -문법 교육과 띄어쓰기 교육의 통합적 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 Organiz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Middle School -Focusing on integration of teaching-learning spacing and grammar-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L'Etude sur le sujet “comment traduire”

프랑스 문화 연구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L'Etude sur le sujet “comment traduire”

프랑스 문화 연구 |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contents of othography, dictionary, and grammar.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범, 사전, 문법’의 관계와 내용 구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contents of othography, dictionary, and grammar.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랍어의 조어법 연구

A Study on the Arabic Codification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아랍어의 조어법 연구

A Study on the Arabic Codification

아랍어와 아랍문학 | 14 | 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통사 단위 단어

Word, as a Syntactic Unit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단어 개념의 역동적 구성 과정과 담론 -토론을 중심으로-

The dynamic constitution process of word's concept and discourse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