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어 凸의 음운·어형 변화 -[어]계를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Phoneme and Word Form on a Root Word 凸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산스끄리뜨 불전의 언어학적 가공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Linguistic Processing of Buddhist Sanskrit Text and Grammatical Information Database
남아시아연구 |
17 |
1 |
2011 |
지역학
회계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분석
A Linguistic Analysis of Accounting Terminology.
언어과학연구 |
60 |
2012 |
언어학
关于“箸(著)”的语源及其在上古时期的形义演变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Word “箸(著)” and the Process of Its Character Shape and Meaning’s Change in Archaic Chinese
중국언어연구 |
40 |
2012 |
중국어와문학
바라밀다(PĀRAMITĀ)의 형태론적 어원 분석들과 그 실제적 가능성에 대하여
A Morphological Study on Etymology of PĀRAMITĀ
남아시아연구 |
17 |
2 |
2011 |
지역학
석주명의 제주어 연구 의의와 과제
The Significance and task of the Study of Jeju Dialect by Seok, Ju-myeong
탐라문화 |
40 |
2012 |
기타인문학
‘ㅸ’ 포함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
Mophological Analysis of ‘ㅸ’ Words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重庆诸称谓的语源
The Etymology of Names for Chong Qing
인문연구 |
65 |
2012 |
기타인문학
'加倻'의 어원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Word ‘伽倻’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加倻'의 어원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Word ‘伽倻’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현대국어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2) -형용사, 동사를 중심으로-
On the Meaning Change 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Centering on ‘Adjective’ and ‘Verb’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세 유럽의 문자개념과 문자관 - 세비야의 이시도루스의 『어원』을 중심으로 -
Concepts and Ideas on litterae in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서양중세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A Research on Korean and Mongolian symbolism & etymology of Hawks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A Research on Korean and Mongolian symbolism & etymology of Hawks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어휘 구성소 ‘-알/을-’과 그 화석어에 대하여
A Study on the Etymology of lost lexical unit ‘-/을-’ and its fossilized words in Korean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어기 ‘번’의 단어족 연구
A Study on the Word Family of Middle Korean Base ‘Pə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국어 어기 ‘번’의 단어족 연구
A Study on the Word Family of Middle Korean Base ‘Pə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곶[串]’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
About the word formation and meaning of ‘곶’ interrelated words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헌과 방언을 통해 본 ‘부스럼[furuncle]’의 형태사
A Study on the Dialect-forms and the Etymology of the “Buseureom[furuncle]”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헌과 방언을 통해 본 ‘부스럼[furuncle]’의 형태사
A Study on the Dialect-forms and the Etymology of the “Buseureom[furuncle]”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