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연구분야 : A1101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형태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886

STNet ID : 1000959

한자 : 品詞
영어 : part of speech
영어 : word class
중국어 : 词类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용사 () [ 形容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분사 [ 分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접속사 [ 接續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연결사 [ 連結詞 ]

hasKind (종류)

 

 

수 분류사 [ 數分類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치사 [ 副置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정사 [ 不定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사 () [ 副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 () [ 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사 () [ 動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대명사 [ 代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감탄사 () [ 感嘆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양화사 [ 量化詐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강조사 [ 强調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사 [ 冠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정사 () [ 指定詞 ]

hasKind (종류)

 

 

수사 (품사) [ 數詞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어 () [ 單語 ]

isAppliedTo (적용 대상)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품사 발달 [ 品詞發達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조사 () [ 助詞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감탄 조사 () [ 感歎助詞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감각 형용사 () [ 感覺形容詞 ]

중국어권 학문 목적 학습자 구어 문장의 통사적 특징과 한계 -한국인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Syntactic approach to the problems of linguistically maladjusted learners from China for academic purpose -comparing the spoken clauses of Chinese students with those of Korean students-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권 학문 목적 학습자 구어 문장의 통사적 특징과 한계 -한국인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Syntactic approach to the problems of linguistically maladjusted learners from China for academic purpose -comparing the spoken clauses of Chinese students with those of Korean students-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자 어근 ‘순(純)’의 단어화와 화용화 - 단음절 한자 어근의 어휘사 -

Adnomial monosyllabic sino-korean modifier sun(純)and its acquisition of grammatical status and pragmaticalizatio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Categories and Types in Linguistics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아랍어 품사의 유형론적 특징

The Arabic Word Classes ; a Typological study

아랍어와 아랍문학 | 15 | 1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외래어 차용의 형태론적 양상

Morphological Aspects in the course of Borrowing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倭語類解』와 『日語類解』 親字의 대역 일본어 교체형 비교 분석

Comparative Vocabulary analysis of [倭語類解] and [日語類解]- Translated word replacement for the Caption of Chinese characters-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어휘의 문법성 변화 원인을 찾아서- ‘새’[新]와 ‘새로’의 문법사를 중심으로-

On the source of grammatical property change of lexeme: the historical grammar of sae and saero.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의 문법성 변화 원인을 찾아서- ‘새’[新]와 ‘새로’의 문법사를 중심으로-

On the source of grammatical property change of lexeme: the historical grammar of sae and saero.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 연구

A Study on Mistranslation Aspects of Learner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 연구

A Study on Mistranslation Aspects of Learners of Chinese Character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日韓の料理名に現れる調理方法の特徴

한일 요리명에 나타나는 조리방법의 특징에 대해서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아랍어와 하우사어의 비교연구 -하우사어의 문자, 음운, 품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Arabic & Hausa -Focusing on Hausa Letters, Phonemes & Parts of Speech-

중동연구 | 30 | 1 | 2011 | 기타지역학

외솔 최현배의 씨가름 체계 성립 과정 연구

A study on established process of Choe Hyunbae's system of part of speech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일 양언어에 있어서 감정어휘의 형태별 분류

韓日両言語における感情語彙の形態別分類 The Study o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Word in Korean and Japanese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A Rearch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Chinese Parts of Speech with Functional and Alterable System by Analyzing 'Qubieci'

중국문학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구별사의 분석을 통한 중국어 품사의 전형성에 대한 기능적, 동태적 고찰

A Rearch on the Typical Properties of Chinese Parts of Speech with Functional and Alterable System by Analyzing 'Qubieci'

중국문학 | 62 | | 2010 | 중국어와문학

독일어 형용사와 부사의 경계

Grenzziehung zwischen deutschen Adjektiven und Adverbien

독어학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형용사와 부사의 경계

Grenzziehung zwischen deutschen Adjektiven und Adverbien

독어학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다문화가정 아동의 품사별 어휘정확도 및 반응속도 특성

언어치료연구 | 20 | 4 | 2011 | 교육학

학령기 아동의 이야기 말하기와 이야기 쓰기 특징 - 어휘다양성과 품사별 빈도를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the Vocabulary Variety and Word Class Frequency of School-Aged Children's Story Telling and Writing

언어치료연구 | 21 | 3 | 2012 | 교육학

외래어의 수용과 품사적 변용

The import of loan words and variations in their word classes in Modern Korean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통사 단위 단어

Word, as a Syntactic Unit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책읽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청각장애유아와 건청어머니간의 품사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Lexical Category of Hear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Hearing Loss in the Book Reading Activities

유아특수교육연구 | 11 | 2 | 2011 | 교육학

수식과 수식 단위에 대한연구사적 고찰

A survey on the research about modification and its unit in Korean Grammar -Focused on the traditional grammar of adverbials-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 형용사 범주 인식의 변화 양상

On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adjectival category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형용사 범주 인식의 변화 양상

On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adjectival category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日韓いろは辞典』の語彙

외국학연구 | 17 | 2011 | 기타인문학

『한어문전』의 문법기술과 품사구분 -문화소통의 관점에서 다시 보기-

Description de Grammaire et Parties du Discours dans la Grammaire Coréenne -Une Perspective de Communication Interculturelle-

프랑스학연구 | 5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

The Boundaries of Parts of Speech: focusing on Josa, ending, root and affix.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형사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 - 체언 수식 용언 활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tegory of Korea Pre-nouns - Focused on Noun Modifying Adnominals Originating from Conjugated Form of Verbs and AQdjectives -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형사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 - 체언 수식 용언 활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tegory of Korea Pre-nouns - Focused on Noun Modifying Adnominals Originating from Conjugated Form of Verbs and AQdjectives -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A few issu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형태론 | 12 | 2 | 2010 | 언어학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A few issues on parts of speech in Korean

형태론 | 12 | 2 | 2010 | 언어학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 대상으로 -

A part of speech as a category and its typicality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