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31

STNet ID : 1000331

한자 : 名詞
영어 : noun
기타 : 名词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품사 () [ 品詞 ]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실사 [ 實辭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고유 명사 () [ 固有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순 명사 [ 單純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유일 명사 [ 唯一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사물 명사 () [ 事物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추상 명사 () [ 抽象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분류사 [ 分類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사건 명사 () [ 事件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체 명사 () [ 具體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발화 명사 () [ 發話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일반 명사 () [ 一般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식 명사 () [ 形式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감정 명사 () [ 感情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사람 명사 () [ --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보통 명사 () [ 普通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외래 명사 () [ 外來名詞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선행사 [ 先行辭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서술성 명사 () [ 敍述性名詞 ]

R1:개념적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기능 동사 () [ 機能動詞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2 모형/기준 모형/기준

명사화 () [ 名詞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형 어미 [ 名詞形語尾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파생 동사 () [ 名詞派生動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인칭 () [ 人稱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명사절 () [ 名詞節 ]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The Joseon Literature-Style Existence Ways of Chinese Characters/Words ― Focusing on Lee Tae-ju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The Joseon Literature-Style Existence Ways of Chinese Characters/Words ― Focusing on Lee Tae-ju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 대상으로 -

A part of speech as a category and its typicality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 대상으로 -

A part of speech as a category and its typicality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감탄사의 범주 설정에 대한 재고찰

A Reconsideration on Category of Korean Interjections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감탄사의 범주 설정에 대한 재고찰

A Reconsideration on Category of Korean Interjections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사 빈도의 변화, 사회적 관심의 트렌드: 물결 21 코퍼스[2000-2009]

Change of Frequencies of Nouns and the Social Trends: The Trends 21 Corpus[2000-2009]

언어학 | 61 | 2011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완월회맹연>의 역사수용 특징과 그 의미 -토목지변(土木之變)과 탈문지변(奪門之變)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terary Acceptance of Chinese History and its meaning i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완월회맹연>의 역사수용 특징과 그 의미 -토목지변(土木之變)과 탈문지변(奪門之變)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terary Acceptance of Chinese History and its meaning i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形式名詞「はず」の意味 ・用法と解釈について

인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形式名詞「はず」の意味 ・用法と解釈について

인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Different Types of Kes Construction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 22 | 3 | 2012 | 언어학

《世說新語》中的魏晉藝術

The Art of Wei-Jin Dynasty in Essays and Criticism(世說新語)

중국소설논총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世說新語》中的魏晉藝術

The Art of Wei-Jin Dynasty in Essays and Criticism(世說新語)

중국소설논총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우리말본』 유인본에 나타난 최현배의 체언 체계 및 내용 변천 과정 연구

A study on 'Che-un' (noun, pronoun, numeral) of changing course of the Choe Hyeon bae’s Korean grammar - Focusing on Mimeograph edition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試論現代漢語“些个”+NP結构

Analysis on the Modern Chinese Language“Xiege”+NP‘s Structure

중국학 | 38 | 2011 | 기타중문학

Differences in Grammatical Gender of Noun Synonyms between Czech and Slovak Languages

Rozdíly v gramatickém rodě u synonymních substantiv v češtině a slovenštině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가게키요(景清)에 대한 일고찰 -또 다른 가게키요를 중심으로-

One consideration on「Kagekiyo」

일어일문학 | 50 | 2011 | 일본어와문학

『우리말본』 유인본에 나타난 최현배의 체언 체계 및 내용 변천 과정 연구

A study on 'Che-un' (noun, pronoun, numeral) of changing course of the Choe Hyeon bae’s Korean grammar - Focusing on Mimeograph edition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臺灣國語的名詞重疊現象

중국어문학논집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皇華集』을 통해 본 企齋 申光漢의 작가 의식 - 明使 張承憲과의 酬唱 樣相을 中心으로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Gijae Shin Gwang Han Expressed in 『Hwanghwajip(皇華集)』- Focusing on the Aspect in Exchanging Poems with Ming Envoy Jang Seung Heon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찰 ‘皆’ 해독의 변증

A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e character(皆) in Hyangcha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사+명사’ 합성어 구성요소의 의미관계 연구

A Study on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Noun + Noun’ Compounds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사와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관광경험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elf-image Congruity with a Celebrity on Tourist Experience

관광학연구 | 34 | 5 | 2010 | 관광학

명사와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관광경험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elf-image Congruity with a Celebrity on Tourist Experience

관광학연구 | 34 | 5 | 2010 | 관광학

‘명사+명사’ 합성어 구성요소의 의미관계 연구

A Study on Semantic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Noun + Noun’ Compounds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소재 한시의 특징과 양상-명 사신과 조선 접반사의 수창-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Poetry in Hwanghwajip(皇華集) -Poetry interchange between Chosŏn's government officials and Ming's envoys-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소재 한시의 특징과 양상-명 사신과 조선 접반사의 수창-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Poetry in Hwanghwajip(皇華集) -Poetry interchange between Chosŏn's government officials and Ming's envoys-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冠形語가 先行하는 副詞들에 대하여

A Study on the Adverbs Preceded by Adnominal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冠形語가 先行하는 副詞들에 대하여

A Study on the Adverbs Preceded by Adnominals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명사 한정 체계

A Study on the Determining System of Noun in Korean Sentenc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명사 한정 체계

A Study on the Determining System of Noun in Korean Sentenc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