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어법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919

STNet ID : 1000831

한자 : 造語法
영어 : word formation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조어 (말) [ 造語 ]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어 () [ 單語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합성어 () [ 合成語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파생어 () [ 派生語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복합어 () [ 複合語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형태소 () [ 形態素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독일어 조어론 [ 獨逸語造語論 ]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근과 어간의 개념에 대한 국어학사적 검토

Issues of the Notion of Root and Stem in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譯 佛典 언어의 특징 초고

An elementa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Buddhist Sutra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漢譯 佛典 언어의 특징 초고

An elementa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Buddhist Sutra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형태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Morphological Researches in ≪國語學(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during the last 50 years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경북 방언의 문법 - 경북출신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mmar of Gyeongbuk Dialect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as the central figure on dialect in literary works be mentioned by authors of native of Gyeongbuk-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계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분석

A Linguistic Analysis of Accounting Terminology.

언어과학연구 | 60 | 2012 | 언어학

日本語略語の位置づけと若者語における造語法

일본어 약어의 자리매김과 신세대 언어에 있어서의 조어법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회계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분석

A Linguistic Analysis of Accounting Terminology.

언어과학연구 | 60 | 2012 | 언어학

인터넷 통신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언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통신에 나타난 정보 지시 표현의 언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alysis on Information Referential Expressions in Internet Communi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곶[串]’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

About the word formation and meaning of ‘곶’ interrelated words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첩의 두 유형

The two kind of suplication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첩의 두 유형

The two kind of suplication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手語 漢字指文字의 구성 자질 특성

A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s of Korea Sign Language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手語 漢字指文字의 구성 자질 특성

A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s of Korea Sign Language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网络新词的造词法研究

중국언어연구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한·일 제과 브랜드명에 대한 연구 -조어(造語)를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of Confectionery Brand naming -with focus on the word formation-

일본근대학연구 | 29 | 2010 | 일본문화학

한·일 제과 브랜드명에 대한 연구 -조어(造語)를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of Confectionery Brand naming -with focus on the word formation-

일본근대학연구 | | 29 | 2010 | 일본문화학

코퍼스 분석을 통한 영어 구동사의 단어 형성력 연구

On the Productivity of Word-formation of English Phrasal Verbs through Corpus Analysis.

영어영문학연구 | 38 | 1 | 2012 | 영어와문학

온라인 게임 금칙어의 조어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d Formation of prohibited words in online games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신조어의 발생과 수사조어법

Origination and rhetoric word formation of new words in modern Chinese

중국학연구 | 54 | 2010 | 중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신조어의 발생과 수사조어법

Origination and rhetoric word formation of new words in modern Chinese

중국학연구 | | 54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국어와 중국어의 조어법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n Word Formation in Korean and Chinese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ule as the Device of Word Formation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형성 기제로서의 규칙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ule as the Device of Word Formation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Productivity and Constraint in Morphology and Lexicon

언어와언어학 | 47 | 2010 | 언어학

Productivity and Constraint in Morphology and Lexicon

언어와언어학 | | 47 | 2010 | 언어학

화용적 동기에 의한 조어 과정

Word formation process by pragmatic motivatio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용적 동기에 의한 조어 과정

Word formation process by pragmatic motivatio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와 중국어의 조어법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n Word Formation in Korean and Chinese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현대 한‧일어 접사의 파생 형식 연구: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modern Korean and Japanese affixes derived types

언어정보 | 15 | 2012 | 기타언어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어 형성에 관한 대조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ord Formation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악센트로 본 日本語의 造語法

A Study on the Word-Formation of Japanese from Pitch Accent

일본어문학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악센트로 본 日本語의 造語法

A Study on the Word-Formation of Japanese from Pitch Accent

일본어문학 | | 48 | 2010 | 일본어와문학

‘로리타’ 작품에 나타난 러시아어, 영어 동사의 비교연구 (1) -조어론적, 형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verbal expressions by English and Russian in the work of Lolita (1)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로리타’ 작품에 나타난 러시아어, 영어 동사의 비교연구 (1) -조어론적, 형태 통사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verbal expressions by English and Russian in the work of Lolita (1)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현대 한·일어 파생어기와 접사와의 결합 관계 고찰(2) ―어기의 품사성을 중심으로-

現代韓·日語派生語基と接辞との結合関係考察(2)―語基の品詞性を中心に―

일어일문학연구 | 82 | 1 | 2012 | 일본어와문학